등록 : 2009.01.02 19:08
수정 : 2009.01.02 19:08
지문모양 테이프 부착 수법
한국인 ‘요미우리’서 인터뷰
일본이 테러리스트 등의 입국방지를 위해 580억원의 거액을 들여 설치한 ‘생체인증 심사’ 장치가 가짜 지문을 제대로 가려내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한국의 브로커가 불법입국을 희망하는 한국인 여러 명에게 가짜 여권과 가짜 지문테이프를 제공한 것으로 알려져 파문이 일고 있다.
지난해 4월 양쪽 집게손가락(검지)에 피부색의 가짜 지문테이프를 붙이고 아오모리공항의 생체인증 심사를 통과했다가 나중에 적발된 한 한국인 여성(51)은 2일 보도된 <요미우리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불법 입국과정을 증언했다.
그는 “브로커에게 1300만원을 주고 위조여권과 손가락에 지문 모양이 붙은 테이프를 붙이는 방법으로 일본에 입국했다”면서 “이런 방법으로 많은 사람을 일본에 입국시켰다고 들었는데 브로커의 휴대전화에는 ‘잘 (일본에) 도착했다’는 전화기록이 대여섯통 남아 있었다”고 말했다. 일본에서 불법체류하다 2007년 7월 적발돼 한국에 송환된 그는 “강제송환 당시 도쿄도내의 입국관리소 시설에서 알게 된 한국인 여성에게 의뢰해 서울 시내 찻집에서 브로커 남성과 만났다”고 말했다. 브로커는 “작은 공항이 심사가 엄격하지 않다” “일본의 골프장이나 온천에 가는 척하고 짐도 적게 하라”고 구체적 입국방법까지 알려줬다고 한다. 그는 가짜 지문테이프가 “피부색과 같고, 한번 봐서는 (진짜와) 구분할 수 없다”며 “입국심사관도 눈치채지 못했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2007년 11월부터 전국 30개 공항에서 입국심사과정에서 두 집게손가락의 지문을 채취해 경찰청의 자료와 대조하는 ‘생체인증 심사’ 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도쿄/김도형 특파원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