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언론 늑장대응 문제점 지적
미국·캐나다 집단소송 줄이어
리콜 810만대·대상 지역 확대
도요타자동차가 미국과 캐나다, 유럽, 중국 등지에서 드러난 가속페달 결함에 따른 대량 리콜(회수·무상수리) 문제에 대해 2일 일본 나고야에서 본사 차원의 사죄를 처음으로 표명했다. 그러나 리콜 대상 규모가 애초 예상을 훨씬 넘는 910만대로 밝혀지는 등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품질담당 임원인 사사키 신이치 부사장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세계의 도요타 고객에게 매우 걱정을 끼친 점에 대해 마음으로부터 사죄를 드린다”며 머리를 숙였다. 그는 리콜 대책이 늦어진 점과 관련해서는 “판매와 생산 현장이 혼란해지더라도 고객에 대한 통보를 우선시했다”며 이해를 구했다. 자동차 리콜 조처는 대책을 마련하고 부품을 조달한 뒤 발표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도요타는 가속페달 결함이 드러난 뒤 열흘 동안 구체적인 수선대책을 발표하지 않다가 지난 1일에야 미국 판매회사를 통해 리콜 대책을 공식 발표했다. 일본에서 생산한 부품을 들여와 이번주 안에 무상수리를 개시하고 중단됐던 리콜 대상 차종 8종의 생산을 8일부터 재개한다는 것이 뼈대다. <로이터> 통신은 2일 밟은 가속페달이 원상태로 잘 돌아오지 않는 결함 차량 445만대에다 운전석 바닥깔개가 가속페달에 걸리는 결함 차량 535만대를 더하면 리콜 대상 차량이 910만대에 이른다고 보도했다. 이는 도요타가 최근 밝힌 2010년도 그룹 전체의 판매계획 대수(827만대)를 웃도는 수치다. 도요타 쪽은 지난해 가을에 드러난 바닥깔개의 문제에 대해 리콜과 별도로 ‘자발적 회수’로 구분하고 있으나, 미국 등에서는 리콜 대상으로 분류하는 경우가 많다고 통신은 전했다. 도요타의 대규모 리콜 사태에 사실보도에 충실하던 일본 언론들도 도요타 쪽의 늑장대처를 비판하고 나섰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2일 “소비자 대응에 늑장을 보이는 바람에 브랜드의 상처가 커졌다”며 “신뢰회복을 위한 근본대책을 서두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리콜 대상이 대규모로 확대되면서 도요타의 부담금액은 1000억~2000억엔가량이 될 것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도요타는 2009회계연도의 연결영업적자를 3500억엔으로 잡고 있으나 리콜 사태에 따른 적자 규모가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커졌다. 또한 품질과 안전이라는 도요타의 세계 1위 브랜드 가치가 이번 대량 리콜 사태로 뒤흔들린 만큼 직접적인 피해뿐 아니라 도요타의 중고자동차 값도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미국과 캐나다에서는 도요타 자동차 소유자들이 도요타를 상대로 10건의 소송을 제기했다고 <교도통신>이 2일 전했다. 미국 텍사스주와 캐나다에서 제기된 소송에서 소유자들은 급가속의 원인이 도요타가 주장하는 가속페달의 결함이 아니라 전자시스템의 결함이라고 주장하며 “장기간에 걸쳐 결함을 알면서도 통보 및 대책을 취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도쿄/김도형 특파원 aip209@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