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을 방문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27일 원폭 희생자 위령비에 헌화한 뒤 묵념하고 있다. 히로시마/AP 연합뉴스
|
‘한국인 위령비’는 왜 지나쳤나
미국 “안전문제 때문” 핑계 궁색
식민지배 부각으로 꼬일까 피한 듯
정부 ‘한국인 위령비’ 외면에도 침묵
G7정상회의 불참 논란에
청와대 “참석 요청 받은 바 없어”
박 대통령 에티오피아서 특별연설
“아프리카 새마을운동 기여하겠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27일 히로시마 평화공원을 방문하면서도, 공원 내에 있는 ‘한국인 원폭 희생자 위령비’는 방문하지 않았다. 오바마 대통령의 방문을 바라보는 미·일과 한국의 이해관계 및 시각차가 큰 탓이긴 하지만, 한국 정부가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오바마 대통령의 히로시마 방문과 관련해 관심을 모으는 것은 박근혜 대통령의 일정이다. 박 대통령은 이번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일정과 상관없이 ‘아프리카 순방’을 추진했다.
일본 언론은 지난 3월부터 “5월 이세시마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 정부가 박근혜 대통령을 초청하는 쪽으로 조정을 하고 있다”고 잇따라 보도해왔다. 당시 <티브이 아사히>는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주요 7개국 외에도 복수의 국가 정상을 초대하는 관례가 있다. 일본 정부는 한국의 박근혜 대통령을 초대하는 쪽으로 조정을 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위안부 합의 이후 관계 개선이 이뤄지고 있는 한국과 연대를 한층 더 강화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보도했다. 박 대통령의 에티오피아 국빈 방문을 수행 중인 정연국 대변인은 현지 브리핑을 통해 “일본으로부터 주요 7개국 정상회의에 참석해달라는 요청을 공식적으로 받은 바 없다”고 부인하면서 “아프리카 순방 일정은 주요 7개국 회의에 훨씬 앞서서 정해졌다”고 말했다. 결과적으로, 미국과 일본으로선 당사자인 한국의 대통령이 현장에 없기에 오바마 대통령의 한국인 위령비 방문에 대한 외교적 부담을 덜게 됐다.
|
오바마 27일 히로시마 방문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