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정기국회 폐회일인 1일 국회에서 아베 신조(왼쪽 둘째) 일본 총리의 의석으로 아소 다로 부총리 겸 재무상이 다가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이날 아베 총리는 소비세율 인상 재연기를 발표했다. 도쿄/AFP 연합뉴스
|
임기 이후인 2년6개월 뒤로
참의원 선거 압승 노려 악재 회피
중의원 이어 개헌선 확보 땐
“임기 연장해 증세·개헌 추진” 분석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내년 4월로 예정돼 있던 소비세율 인상 시점을 2년 반 미룬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결정은 비틀거리고 있는 아베노믹스는 물론 아베 총리의 ‘필생의 과업’인 개헌 등을 둘러싼 향후 정치 일정에 복합적인 파급효과를 불러올 전망이다.
아베 총리는 1일 오후 6시 총리관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소비세율 인상 시점을 2017년 4월에서 2019년 10월로 연기한다고 밝혔다. 그는 소비세 증세 연기의 이유로 “신흥국 등의 경제가 위축되고 있고 세계 경제가 큰 위험에 직면해 있다”는 점을 들며, “내수의 허리를 끊을 수도 있는 소비세율 인상은 연기해야 한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아베노믹스의 실패 때문이 아니라 신흥국발 경제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소비세율 인상을 미룬다는 논리다. 아베 총리는 소비세 증세 연기가 지난 중의원 선거의 공약 위반이 아니냐는 질문에는 “겸허하게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일본에서 이번 소비세 증세 연기가 불가피하다는 데엔 어느 정도 사회적 합의가 이뤄진 상황이다. 2014년 4월 단행된 1차 소비세율 인상(5%→8%)에 따른 후폭풍을 겪은 바 있다. 2013년 일본의 국내총생산(GDP)은 1.4% 성장했지만, 소비세율 인상이 이뤄진 2014년엔 0%에 그쳤다. 안 그래도 세계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이뤄지는 소비세율 재인상은 일본 경제에 파멸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
일본 경제성장률 추이
|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