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8.08.06 18:43
수정 : 2018.08.06 21:47
|
김홍걸(가운데)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대표상임의장이 6일 도쿄에서 북한과 일본 민간단체와 손잡고 일제 강점시대 강제 징용과 징병 등으로 일본에 끌려갔다가 희생된 조선인 유골 봉환 운동을 추진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
도쿄에서 남북 민간 협력사업 뜻 밝혀
유텐지 북한 출신 유골 추도제 등 추진
“유족 분명하지 않은 경우 DMZ 모시는 것도 방안”
|
김홍걸(가운데)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대표상임의장이 6일 도쿄에서 북한과 일본 민간단체와 손잡고 일제 강점시대 강제 징용과 징병 등으로 일본에 끌려갔다가 희생된 조선인 유골 봉환 운동을 추진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
김홍걸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민화협) 대표상임의장이 6일 북한과 일본 민간단체와 손잡고 일제 강점시대 강제 징용과 징병 등으로 일본에 끌려갔다가 희생된 조선인 유골 봉환 운동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 의장은 이날 도쿄에서 기자회견을 열어서 ‘조선의 혼, 아리랑의 귀향’ 이라는 이름 아래 유골 봉환을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김 의장은 “유골 봉환이 빠른 시기 안에 결과를 내지 못할 것을 알고 있다. 남과 북 그리고 일본 3국 시민이 조금씩 노력을 함께 하는 과정이 결과 못지 않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앞서 김 의장은 지난달 16일부터 19일까지 평양을 방문해서 북한 민간단체인 민족화해협의회와 조선인 강제동원자 유골봉환 문제를 협력에 합의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북한 쪽을 대신해서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총련) 그리고 일본 민간단체인 21세기일본위원회가 참석했다.
김 의장은 우선 도쿄의 사찰 유텐지에 있는 남아있는 조선인 군인·군속 유골 봉환 운동을 추진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김 의장은 “유텐지에는 북쪽 출신 (조선인) 유골이 425구가 있는데 이 중 2구에 대해서는 북의 가족들이 생존해있는 것이 확인됐다. 북의 가족들이 일본 입국을 시도했으나 거절당했다. 북의 가족들을 모셔서 일단 추도제를 드리고 유골봉환 사업을 추진하고 싶다”고 말했다. 유텐지 유골 중 한국인 유골 423구는 2008~2010년 한국으로 봉환됐으나, 침몰의 원인을 두고 유족들의 진상규명 요구가 이어지고 있는 우키시마호 관련 희생자 유골은 아직 유텐지에 남아있다.
김 의장은 1942년 야마구치현 우베시에서 일어난 조세이탄광 수몰 사고 때 매몰된 조선인 노동자들의 유골 발굴 작업과 오키나와 모토부에 묻혀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조선인 유골 발굴 작업에도 참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의장은 조선인 유골 중에서 “유족을 확인할 수 없을 땐 한국 내 일정한 장소에 임시로 보관하다가, 한반도 평화협정이 맺어져 비무장지대(DMZ)에 평화공원이 생기면 그곳에 모시는 것을 아이디어의 하나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