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18.09.07 13:15
수정 : 2018.09.07 21:22
|
지난 5일 평양을 방문한 대북특사단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기념사진을 찍었다. 왼쪽부터 윤건영 청와대 국정기획상황실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서훈 국가정보원장, 김상균 국정원 2차장, 김영철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 청와대 제공
|
스가 관방장관 “구체적 행동 기대”
북 구체적 행동 취할 때까지 제재 완화 불가 입장
아베 동방경제포럼 참석 예정
|
지난 5일 평양을 방문한 대북특사단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기념사진을 찍었다. 왼쪽부터 윤건영 청와대 국정기획상황실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서훈 국가정보원장, 김상균 국정원 2차장, 김영철 노동당 중앙위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 청와대 제공
|
일본 정부가 한국 정부 대북 특사단 방북 성과에 대해 ‘북한의 비핵화 실행 여부가 중요하다’며 유보적 태도를 취했다.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은 6일 정례 기자회견에서 “남북 간 협의가 북미 합의(6월 싱가포르 북-미 정상 회담 합의) 이행으로 향하는 구체적 행동으로 연결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름을 밝히지 않은 외무성 간부는 <요미우리신문>에 “(남한 특사 방문이) 비핵화를 전진시키는 좋은 기회가 되어야만 한다”고 말했다.
일본은 북한이 6·12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에서 합의한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구체적 행동을 취하기 전까지는 북한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경제제재를 풀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이다. 일본 정부는 또 지나친 남북 접근이 대북 봉쇄망을 느슨하게 할 수 있다며 경계하고 있다. <요미우리신문>은 일본 정부가 18~20일 열리는 남북 정상회담 때 한국이 “북한과 안이한 타협을 하지 않도록 쐐기를 박을 예정”이라고 전했다. 아베 총리는 11~13일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열리는 동방경제포럼 때 이낙연 총리와 만나 이런 일본의 생각을 전할 것으로 보인다. 고노 다로 외무상도 11일 세계경제포럼(WEF) 아세안(ASEAN) 지역회의가 열리는 베트남 하노이에서 강경화 외교장관과 회담할 예정이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