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3.12 15:42 수정 : 2019.03.12 20:35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해 10월 베이징 조어대 영빈관에서 만나 악수를 하기 위해 팔을 뻗고 있다. 베이징/EPA 연합뉴스

“트럼프와 같은 대우 하면 미국 기분 좋지 않을 것”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해 10월 베이징 조어대 영빈관에서 만나 악수를 하기 위해 팔을 뻗고 있다. 베이징/EPA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차 방일할 예정인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 대한 국빈 예우 여부를 재검토하고 있다는 일본 언론 보도가 나왔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 정부가 6월28~29일 오사카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 정상회의에 참석할 예정인 시 주석을 애초 국빈으로 예우할 계획이었다가 최근 ‘보류’ 방침으로 돌아섰다고 12일 보도했다. 지난해부터 대중 관계 개선에 적극적인 일본 정부는 애초 주요 20개국 정상회의에 맞춰 시 주석을 국빈으로 맞는 계획을 세웠다. 국빈에게는 일왕 면담과 함께 일왕 거처에서 환영행사를 베푸는 등 융숭한 대접을 한다.

하지만 아베 정부가 5월26~28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국빈으로 맞기로 하면서 문제가 꼬였다. 한달여 만에 외국 정상 2명을 국빈으로 맞기는 일정상 쉽지 않다. 그래서 시 주석의 국빈방문 여부는 일단 보류시켰다는 것이다.

미-중이 무역전쟁 등으로 불편한 사이라는 점도 시 주석에 대한 국빈 대우 보류 배경으로 꼽힌다. 익명의 일본 정부 관계자는 <니혼게이자이신문>에 “시 주석과 트럼프 대통령에게 같은 대우를 하면 미국의 기분이 좋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신문은 중국이 시 주석에 대한 국빈 예우를 요청했기 때문에, 국빈방문이 무산되면 그가 방일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고 전했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