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9.06.24 20:11 수정 : 2019.06.24 20:16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로이터 연합뉴스

교도통신 보도…표면상 이유는 “일정 사정” 들어
실제로는 강제징용 문제 불만 드러내기 위해 활용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로이터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28~29일 오사카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때 한-일 정상회담을 개최하기 곤란하다는 뜻을 한국 정부에 전달했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했다.

<교도통신>은 이름을 밝히지 않은 외교 소식통 말을 인용해, 일본 정부가 아베 신조 총리의 “일정상의 상황”을 들며 이같은 의사를 전달했다고 24일 보도했다. 일본은 표면상으로는 아베 총리가 의장국 정상으로서 일정이 꽉 차 있다는 점을 들지만, 실제로는 강제징용 문제를 둘러싸고 한국 정부를 압박하기 위해 한-일 정상회담을 활용하는 모양새다. 이 통신은 익명의 정부 소식통이 “(한-일 정상회담) 개최 환경이 정비되지 않았다. 문재인 대통령의 방침이 바뀌면 다른 이야기가 되지만, 지금 이대로라면 보류”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 통신은 아베 총리가 주요 20개국 정상회의 개막 전에 최종 결정을 내릴 것이라고 전했다. 또 그가 정상회의 개막 때 각국 정상을 마중할 때 문 대통령과 인사를 나누고 악수할 수 있으며, 선 채로 단시간 이야기를 나눌 수도 있다고 전했다.

앞서 19일 한국 정부는 한-일 양국 기업이 자발적 출연금으로 재원을 조성해 법원에서 확정판결을 받은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배상하는 방안을 일본에 제안으나, 일본은 즉각 거부했다. 아베 총리는 22일에는 <요미우리 티브이> 프로그램에 출연해 한-일 정상회담 개최에 대해 “(일본이 G20) 의장국이므로 일정이 꽉 차 있다. 시간이 제한돼 있어 종합적으로 판단하고 싶다”며 부정적 태도를 보였다. 그는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손해배상 판결에 대해 “국제법상 있을 수 없는 판결”이라며 강한 불만을 드러냈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