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나비 네트워크 대학생들이 10일 오후 서울 종로구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아베 정권의 보복성 수출 규제 및 군사대국화 움직임을 규탄하는 평화대행진을 하고 있다.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지금이야말로 미해결 강제동원 문제 해결 꾀할 때”
평화나비 네트워크 대학생들이 10일 오후 서울 종로구 평화의 소녀상 앞에서 아베 정권의 보복성 수출 규제 및 군사대국화 움직임을 규탄하는 평화대행진을 하고 있다.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일제 강제동원 피해보상 문제 해결을 위해 오랫동안 싸워온 일본 시민단체들이 아베 신조 정부의 한국 수출 규제 정책을 철회하고 한국 정부와 대화에 나서라는 성명을 잇따라 냈다. 일본 정부가 수출 규제에 대해 “안보상의 이유가 있다”는 새로운 논리를 내세운 뒤로 일본 내에서 이번 조처에 대한 비판 목소리가 잦아지고 있는 분위기 속에 나온 성명이다.
‘강제동원 문제 해결과 과거 청산을 위한 공동행동’(공동행동)은 10일 ‘아베 정권은 대한국 수출 규제를 철회하고 강제동원 문제를 대화로 해결해야 한다’는 제목의 성명을 냈다. 공동행동은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손해배상 판결을 계기로 지난해 11월 여러 일본 시민단체가 연합해 만든 단체다.
공동행동은 성명에서 아베 정부가 취한 한국 수출 규제는 “강제동원 문제에 대해 진지하게 마주하는 것이 아니라 무역상의 조처를 통해 굴복을 강요하는 행동”이라며 “강제동원 피해자에게 위자료 청구권을 인정하고 일본 기업에 배상을 명한 한국 대법원 판결을 ‘없었던 것으로’ 되돌려 과거를 봉인하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공동행동은 “지금이야말로 미해결인 강제동원 문제 해결을 꾀해야 할 때”라며 피해자를 중심에 놓고 생각하라고 호소했다. 공동행동은 “그것이 일-한, 일본과 한반도의 신뢰, 우호 관계를 발전시켜 동아시아의 평화체제 구축에 연결되는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강제동원 문제를 조사해온 시민단체 ‘강제동원 진상 네트워크’도 “일본 정부와 기업은 조선인 강제동원·강제노동 문제의 포괄적 해결을”이라는 제목의 성명을 냈다. 이들은 “일본 정부는 수출 규제를 발동해서 일-한 우호 관계를 파괴할 수 있는 행동을 취했다. 이는 식민지 지배기의 강제노동을 인지하지 못하고, 한국 사법 판결을 무시하는 것”이라며 “강제동원과 관계 있는 기업을 계승한 기업이 존재한다. 이 기업과 (일본) 정부는 강제노동 문제의 포괄적 해결을 향해 협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적었다.
도쿄/조기원 특파원 garden@hani.co.kr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