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지역방송에 바란다…‘작품’ 보다 ‘시민 의제’를
    한선 호남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왜 레드가 아니고 핑크지? 홍어를 소재로 한 프로그램 제목이 <핑크피쉬>라는 얘기를 듣고 제일 먼저 떠오른 생각이었다. 이내 무심히 지나쳤던 홍어...
    2019-09-03 19:04
  • [사설] 국회 책임 방기한 ‘장외 청문회’, 여야 모두 자성을
    자유한국당이 3일 ‘조국 후보자의 거짓 실체를 밝힌다’는 이름의 기자간담회를 열어, 전날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국민청문회’ 형식의 기자간담회에서 해명한 내용을 반박했다. 법률이 ...
    2019-09-03 18:39
  • [사설] 주일 한국대사관에 ‘협박편지’, 철저히 수사해야
    최근 일본 도쿄에 있는 한국대사관에 총탄이 동봉된 협박편지가 배달됐다고 한다. 익명의 편지에는 “라이플(소총)을 몇 정 가지고 있다. 한국인을 노리고 있다. 한국인은 (일본에서) 나가라”...
    2019-09-03 18:28
  • [한겨레 프리즘] 312호 법정에서 기록된 역사 / 현소은
    현소은산업팀 기자 “우리는 억울하다.” 지난해 2월13일, 롯데그룹에선 곡소리가 나왔다. 1심 법원이 롯데타워 면세점 특혜를 바라고 박근혜 전 대통령 쪽에 70억원을 뇌물로 건넨 혐...
    2019-09-03 17:49
  • [정홍수 칼럼] ‘우리 집’이라는 말
    정홍수 문학평론가 엘리아스 카네티의 <군중과 권력>(강두식·박병덕 옮김, 바다출판사)은 접촉 공포의 전도(顚倒)에서 군중의 본질을 끌어내며 논의를 시작한다. 군중 속에서 서로...
    2019-09-03 17:49
  • [세상읽기] 안개 낀 광화문 광장에서 생각한다 / 이상헌
    이상헌국제노동기구(ILO) 고용정책국장 무슨 까닭인지 나는 번번이 움베르토 에코의 소설 <장미의 이름>을 ‘장미의 전쟁’으로 쓴다. 분명 전자를 의도했건만, 말과 글로 드러나는 ...
    2019-09-03 17:49
  • [전우용의 현대를 만든 물건들] 유곽
    전우용역사학자 1904년 2월 러시아를 상대로 전쟁을 도발한 일본군은 한국 전역을 점령하고 실질적인 계엄 통치를 시작했다. 그 덕에 한국에 거주하던 일본 민간인들도 순식간에 특권 집...
    2019-09-03 17:49
  • [김지석의 화.들.짝] 걷는 생활의 뒷면
    필자는 장애인이다. 오른쪽 다리가 거의 없어, 양쪽에 지팡이를 짚고 다닌다. 의족은 오히려 몸에 부담돼, 오랜 우여곡절 끝에 포기했다. 휠체어를 타고 다니기도 했으나, 10여년 전 마음...
    2019-09-03 17:49
  • [사설] 현대차 8년 만에 ‘무분규’ 임단협, 상생의 고리 되길
    현대자동차 노사가 올해 임금·단체협약 교섭을 파업 같은 분쟁 없이 완전히 마무리 지었다. 현대차 노조는 지난달 마련한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조합원 찬반 투표에 부친 결과, 찬성률이 56.4...
    2019-09-03 17:37
  • [아침 햇발] 조국은 이럴 줄 몰랐을까 / 안영춘
    안영춘논설위원 며칠 전 큰딸이 지나가듯 말했다. “아빠보다 딸이 너무 안됐어. 나라면 못 견뎠을 거야.” 같은 20대 여성에 대한 연민 때문인지 타고난 품성 때문인지 알 수 없으나, 그...
    2019-09-03 16:57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