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사설] 북한, ‘미사일’로 긴장 높이는 행동 당장 그만둬야
    북한이 6일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를 또 쐈다. 지난달 25일 이후 벌써 네번째다. 한-미 연합연습 실시에 대한 불만 표출과 함께 북-미 협상을 앞두고 협상력 제고, 체제 내부 ...
    2019-08-06 18:02
  • [사설] 미-중 환율전쟁, 금융시장 안정에 주력할 때다
    한-일 경제전쟁, 미-중 무역분쟁 고조로 금융시장이 불안한 터에 미국이 중국을 ‘환율 조작국’으로 지정하는 대형 악재를 추가로 터뜨렸다. 6일에도 전날에 이어 한국, 일본을 비롯한 세계 ...
    2019-08-06 18:00
  • [사설] ‘노 재팬’ 아닌 ‘노 아베’, 지혜롭고 성숙한 대응을
    일본 정부의 경제보복 조처 이후 일본제품 불매운동 등 자발적인 실력행사가 지역과 영역을 불문하고 확산하고 있다. 깨어 있는 민주시민으로서 당연한 의사 표시이고 정당한 주권행사임은 ...
    2019-08-06 17:57
  • [아침햇발] 우리가 이완용과 이별하는 법/ 안영춘
    이완용은 친러파였다. 1896년 아관파천의 핵심 주동자 가운데 한 사람이었던 그는 고종 부자가 러시아 공사관 깊숙이 몸을 옹그리고 있는 동안 친러 내각의 외무대신에 올랐다. 그렇다고 처...
    2019-08-06 17:52
  • KBS 지역국 축소 논란을 보며 ‘지역’을 생각한다
    지역이란 이슈만큼 모순적이고 불가사의한 것도 없다. 때로는 지역성 담론의 공허함과 지루함에 좌절하곤 하는데 회의의 틈새는 시장주의적 경영논리 앞에서 특히 무기력해진다. 현재 진행형...
    2019-08-06 17:48
  • [세상읽기] 세계주의를 경계한다 / 이상헌
    이상헌국제노동기구(ILO) 고용정책국장 무역과 투자의 자유화를 내세우며 거칠게 몰아붙였던 세계화는 지금 싸늘해져서 다들 돌아보는 것조차 꺼려 한다. 하지만 세계화의 열풍은 뜨거운...
    2019-08-06 17:41
  • [한겨레 프리즘] 한국당의 ‘TK 패싱’ / 김일우
    김일우전국1팀 기자 “문재인 정부가 대구·경북을 ‘패싱’하고 있다.” 2017년 5월, 10년 만에 정권이 바뀐 이후 대구·경북에서는 걸핏하면 ‘티케이(TK) 패싱론’이 나온다. 진원지는 수...
    2019-08-06 17:33
  • [정홍수 칼럼] 대여행의 시대
    정홍수 문학평론가 ‘대항해 시대’가 있었다. ‘대발견의 시대’라고도 한다. 유럽이 스스로를 세계의 중심으로 여겼기에 가능한 표현이지만, 지리상의 발견이 이루어지면서 ‘구대륙’과 ‘신...
    2019-08-06 17:33
  • [전우용의 현대를 만든 물건들] 고무신
    전우용역사학자 “이른 새벽 통근차 고동 소리에 고무공장 큰아기 벤또밥 싼다. 하루 종일 쭈그리고 신발 붙일 제, 얼굴 예쁜 색시라야 감 잘 준다나. 감독 앞에 해죽해죽 아양이 밑천. ...
    2019-08-06 17:33
  • [김지석의 화.들.짝] 인종주의 확산, 어디까지?
    지구촌 곳곳에서 인종주의가 확산하고 있다. ‘네 나라로 돌아가라’는 구호가 상징하듯이, 이제는 새 이주민뿐만 아니라 자국 시민이나 오랜 거주자에도 칼을 들이댄다. 인종주의를 공개적으...
    2019-08-06 17:33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