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기고] 첫 판문점 북-미 정상회담의 의미 / 안문석
    안문석전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우연과 돌발이 역사적 대변혁을 만들어낼 수도 있음을 새삼 실감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트위터로 시작된 첫 판문점 북-미 정상회담은 즉흥...
    2019-07-04 17:34
  • [나는 역사다] 성소수자운동의 선구자 / 김태권
    한국 사회에 낯선 이름. 그러나 성소수자운동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의학자. 사회가 성(sex)을 과학적으로 이해한다면 성소수자를 관용적으로 받아들이리라는 것, 동성애 성향을 후천적으...
    2019-07-04 17:34
  • [세상읽기] 한 이주민 가족의 이야기 / 황필규
    황필규공익인권법재단 공감 변호사 ○○행 기차를 탔다. 이 가족을 알게 된 지 6년 만의 첫 방문이다. ○○이 어디인지 밝힐 수가 없다. 이들은 나이지리아가 고향인 엄마와 그가 한국에서 ...
    2019-07-04 17:34
  • [조한욱의 서양사람] 이탈리아의 인연
    조한욱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밀라노의 ‘17, 18세기 과학 철학 사상 연구소’와 나폴리의 ‘비코 연구소’가 병합되어 2002년 ‘근대 철학 과학 사상사 연구소’가 태어났다. 이 단...
    2019-07-04 17:34
  • [오금택의 100㎝] 7월 5일
    <한겨레 인기기사> ■ [단독] 박근혜 정보경찰, 황교안 총리실에도 사찰 보고서 돌렸다 ■ 문대통령 지지도 52.4%, 판문점 회동 효과로 7개월만 최고치 ■ 나경원 “근로기준법 시대 저물...
    2019-07-04 17:34
  • [김종구 칼럼] ‘상산고 사태’로 제기해본 엉뚱한 질문들
    김종구편집인 나는 한 지방도시에서 고등학교를 나왔다. 고교 평준화 조처 이전에 그 지역에서는 명문고로 불리던 학교였다. 서울 등 5대 도시와 달리 5년간 평준화 조처가 유예...
    2019-07-03 18:52
  • [사설] ‘총체적 경계 부실’, 이래서야 군 신뢰할 수 있겠나
    북한 소형 어선(목선)이 군경의 경계망을 뚫고 삼척항에 입항한 사건에 대해, 정부가 3일 ‘경계작전 실패’로 규정하고 육군 8군단장을 보직해임하는 등 책임자를 문책했다. 그러나 책임자 문...
    2019-07-03 18:50
  • [사설] ‘급식 불편’에도 비정규직 파업 지지하는 목소리들
    급식과 돌봄을 담당하는 학교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3일부터 사흘 일정의 파업에 들어갔다. 전날 교육 당국과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의 막판 협상이 결렬된 데 따른 것이다. 연대회의는 이...
    2019-07-03 18:36
  • [사설] ‘구조적 경제난’에 ‘한시적 대책’으로 대응할 수 있겠나
    정부가 3일 발표한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에서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2.4~2.5%로 낮춰 잡았다. 이마저도 국회에 묶여 있는 추가경정예산안의 통과·집행을 전제로 한 것인데다 일본의 무...
    2019-07-03 18:35
  • [세상읽기] 노동의 대화가 국경을 넘는 법 / 조문영
    조문영연세대 문화인류학과 교수 지난달 중순 베이징에 센터를 둔 미국 시카고대학에서 ‘노동자 문학과 미디어 실천’을 주제로 워크숍이 열렸다. 홍콩 시위 이후 중국 정부가 국외 학자...
    2019-07-03 16:37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