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김종구 칼럼] ‘멸문지화’의 법과 원칙
    김종구 조국 전 법무부 장관에 대한 수사 결과는 가히 ‘멸문지화’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모질고도 혹독하다. 예전에 멸문지화는 대역죄를 저지른 죄인에 대한 형벌이었는데, ‘검찰 개혁...
    2019-11-27 18:40
  • [세상읽기] 가계소득 통계 톺아보기 / 전병유
    전병유 ㅣ 한신대 교수·경제학지난주에 통계청의 3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소득 하위 1분위(하위 20%) 가구의 소득이 가장 크게 늘어, 2015년 이래 악화하던 분배가 개선되는 방...
    2019-11-27 18:21
  • [왜냐면] 2020학년도 수능시험의 문제점과 개선책 / 우정렬
    우정렬 ㅣ 부산 혜광고 전직 교사올해 수능은 지난해 ‘불수능’에 견줘 수학 나형과 탐구영역이 약간 어려웠을 뿐 국어, 수학 가형, 영어 등은 평이했다고 한다. 출제위원장은 학교교육을 정...
    2019-11-27 18:21
  • [왜냐면] 강제동원 문제 해법 유감, 위자료와 치유의 간극 / 조시현
    조시현 ㅣ 민족문제연구소 연구위원최근 한-일 관계가 경색된 가운데 지소미아 연장 문제와 함께 일제하 강제동원 문제의 해결 방법을 놓고 청와대, 외교부, 국회의장 등의 행보가 두드러졌...
    2019-11-27 18:21
  • [밀레니얼과 Z사이] 별이 된 친구들 / 권도연
    권도연 ㅣ 샌드박스네트워크 크리에이터 파트너십 매니저그룹 소녀시대의 대표곡 ‘지’(Gee)를 처음 들었던 날을 기억한다. 수능 준비로 한창이던 겨울 독서실, 심야 라디오 프로그램의 마지...
    2019-11-27 18:19
  • [편집국에서] 인도-태평양에 대한 아세안 관점 / 이용인
    이용인 ㅣ 국제뉴스팀장부산에서 열린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가 이틀 일정을 마무리하고 26일 막을 내렸다. 크게 주목받지는 못했지만, 캄보디아를 제외한 아세안 9개국 정상이 한국에 모...
    2019-11-27 18:19
  • [왜냐면] 광화문은 잦은 시위로 몸살을 앓고 있다 / 홍창의
    홍창의 ㅣ 서울시 광화문 교통대책위원장·가톨릭관동대 학장광화문 역사를 복원하는 사업이 새롭게 논의되고 있다. 외형적으로 새로운 광화문광장은 지금보다 더 넓어진다. 그래서 주변 지역...
    2019-11-27 18:19
  • [옵스큐라] 빛나는 정거장, 쉬고 싶은 담쟁이 / 이종근
    고개만 들면 밤하늘을 화려하게 수놓은 별을 헤아리고, 그들이 훤히 길들을 밝혀주던 행복한 시절이 있었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이탈리아 다음으로 ‘빛공해’ 수준이 심각하며, 전세계의 80...
    2019-11-27 18:19
  • [공감세상] 혁신을 혁신해보라 / 손아람
    손아람 ㅣ 작가외환위기가 닥쳤던 1998년, 택시의 연 수송 인원은 크게 줄었다. 반면 택시업계에 뛰어든 퇴직자는 늘어나 면허 거래 가격은 거꾸로 치솟았다. 면허 위조, 미터기 조작, 강력...
    2019-11-27 18:19
  • [사설] 추악한 ‘텔레그램 성착취’, 가해자를 단죄하라
    철벽 보안을 자랑하는 인터넷 모바일메신저인 텔레그램이 여성과 청소년·아동 등을 대상으로 추악한 성착취 범죄의 현장이 되고 있는 실태가 이번주 <한겨레>의 연속보도로 낱...
    2019-11-27 18:06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