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은지 진보신당 대변인
|
당 살리기 위해 뛰어든 홍세화
벽안의 비판적 지식인 박노자 등
실천과 이론의 결합을 중시했다 ‘순자 언니’는 국회에서 더 많은 노동자들의 울타리, 대변자가 될 것이기에, 지금 당장 지부장을 떠나보내더라도 더 많은 결실을 들고 돌아올 것임을 잊지 말아 주시라. 홍세화 대표의 비례대표 2번 수락 역시 쉬운 과정은 아니었다. 지식인으로서 본격적 정치생활보다는 명망가 등의 탈당 이후 당을 살리기 위해 당대표직을 수락한 홍세화 대표에게 비례대표 앞 순번은 김순자 후보 같은 ‘배제된 자’들의 몫이었기 때문이다. 진보정치인이라 불리던 사람들의 합종연횡이 마치 ‘진보의 재구성’인 듯 착시현상을 벌이고 있는 시대, 진짜 진보정당을 살리겠다고 벽안의 한국인이자 비판적 지식인인 박노자 노르웨이 오슬로대 교수까지 나섰다. 순자와 노자, 진보신당 비례대표는 ‘실천과 이론’의 결합, ‘투쟁과 사상’의 결합이다. 당직까지 꽉 채워야 한 달에 93만원의 급여를 받는 김순자 후보, 여성 가장으로서 생활비는 물론 자식의 학비를 대는 것조차 버거운 액수다. 서민을 위한 정당이 되겠다고 여야가 한목소리로 말할 때, 어떤 정당이 진짜 서민 청소용역 노동자를 내세울 수 있는가. 그 외에도 생협활동가 이명희, 희망버스 구속자 정진우, 원칙 있는 여성 교육운동가 장혜옥 등이 진보신당 비례대표로 나섰다. 진보신당에는 여느 정당에 있는 정파간 배분도, 안배도 없다. “왜 진보신당을 택했느냐”는 기자의 물음에 김순자 후보는 “진보신당밖에 저 같은 사람 안 불러 줍니다”라고 답했다. 그것이 19대 총선에서 진보신당의 비례대표 공천의 의미이며 당신이 정당투표에서 진보신당을 찍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박은지 진보신당 대변인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