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명박 대통령 부인 김윤옥 여사가 26일 오후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2012 서울 핵안보정상회의’ 배우자 만찬을 갖고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사진기자단
|
[논쟁] 국립중앙박물관 만찬, 어떻게 봐야 하나?
핵안보정상회의에 참가한 정상들의 배우자 만찬이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열려 논란이 일고 있다. 한 역사학자가 “미친 짓”이라며 트위터에 글을 올린 것이 논쟁에 불을 댕겼다. 부정적으로 보는 쪽은 온도·습도·냄새에 민감한 국보급 문화재를 보관하고 있는 박물관에서 각종 음식을 대접하는 것은 이치상 맞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문화재 보호를 전제로, 외국 정상들이 모이는 자리에서 한국의 문화를 알리는 중요한 이벤트를 여는 것을 꼭 나쁘게만 볼 수 없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양쪽의 의견을 들어본다. 예의도 격도 없었다
|
황평우 한국문화유산정책 연구소장
|
기획전시실 개조까지…
외국 박물관 만찬행사는
운영기금 마련 위한 것 둘째, 국립박물관에는 으뜸홀이나 기획전시실 입구에 넓은 전실이 있다. 얼마든지 사용할 공간이 있는데도, 식후 공연을 위해 천장이 낮은 곳을 골랐고, 소품으로 전락한 유물이 식탁에서 바로 보이게 하려고 무리하게 기획전시실을 개조까지 했다는 것은 의도적 계략이라는 것이다. 이는 일반 관람객에게는 음료수도 못 먹게 하면서 만인에게 평등하게 제공되어야 할 문화 향유권을 거부하고 국립중앙박물관이 아직도 전근대적인 박물관 체계를 그대로 답습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셋째, 국립중앙박물관 쪽의 궁색한 변명이다. 설사 상급 기관에서 시켜서라고 해도 “이건 아닙니다!”라고 용기 있게 응대한 학예사가 단 한명도 없었다는 것인가? 이런 사람들에게 국가의 보물을 안심하고 맡길 수 있는가이다. 또 외국의 박물관 몇 곳을 거론하며 그들은 만찬을 하는데 우리는 왜 못하는가 하고 궤변을 하는데, 외국의 경우 전시실을 식당으로 개조하거나 인테리어 소품으로 유물을 전시하지는 않는다. 특히 만찬을 하는 외국 박물관은 박물관 운영이 어려워 운영기금을 마련하는 행사이며 반드시 이런 만찬이 옳다고 평가받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 국립중앙박물관의 운영경비는 전액 국민의 세금으로 대고 있다. 외국 박물관에서 배울 것은 안 배우고 못된 짓만 배우는 귀족 중심의 한국 국립중앙박물관 쪽이 측은하기까지 하다. 넷째, 참여정부 시절 경복궁·창경궁에서 거행되었던 행사도 대부분 비판 대상이었다. 경회루 세계검사대회 술판, 창경궁의 세계철강협회·신문협회 만찬도 술판과 무질서로 호되게 비판받았다. 궁을 활용하고 개방하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어떻게 활용하는지가 중요하다. 이번 박물관 전시실 내 만찬은 실내 전시관이라는 데 더 문제가 큰 것이며 예의와 격도 없었다. 황평우 한국문화유산정책 연구소장
|
이원복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실장
|
전통문화 보여주는 역할
빈 전시실 활용했을 뿐
유물 안전에도 이상없다 전세계 주요 박물관들은 전시 외에 공연, 만찬, 행사 등 각종 활동이 활발하게 이뤄지는 복합문화공간을 지향하고 있다. 박물관 전시실 내부에서 만찬을 예약할 수 있는 영국의 브리티시박물관이나 미국 메트로폴리탄박물관, 내셔널갤러리 등 세계의 주요 박물관들은 박물관 유물과 시설 등을 활용한 다양한 문화 마케팅 활동을 하고 있고, 박물관을 복합문화공간으로 변모시키려는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일부 박물관은 운영비 충당 등을 고려하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관람객 증대 등 박물관 마케팅 차원에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세계 정상 배우자들과 관련된 행사는 마케팅 중에서도 최상의 마케팅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이런 기회는 최대한 충분히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2010년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 업무만찬과 금년도 핵안보정상회의 정상 배우자 만찬 행사를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하여 세계 주요 국가 정상들과 배우자들이 우리 문화의 아름다움에 빠져들고 한국을 사랑하는 최고위급 한류 애호가들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박물관 정상 배우자 만찬 행사에 대한 여러 의견들이 나오고 있으나 우리의 찬란한 문화유산을 통하여 세계 정상 배우자들이 우리 역사·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었던 기회로 이해해 주시길 바란다. 앞으로도 우리 박물관은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콘텐츠들과 시설·정보·인력들을 최대한 활용하여 국내외적으로 세계의 문화 흐름을 주도할 수 있는 박물관 공간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다. 이원복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실장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