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온실가스 감축의무 ‘먼산불’ 구체적인 실천방안 제시해야 |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하는 교토 의정서가 16일 공식 발효됐다. 세계에서 9번째로 많은 이산화탄소 배출국인 우리나라도 2013년부터는 감축 의무대상국이 될 것이며 이를 간과하면 엄청난 경제적 타격을 받을 것이라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정작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도대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의문이 생긴다. 에너지 다소비형 산업 구조를 청정산업 구조로 바꾸고, 신·재생에너지 등 청정기술 개발을 꾀하고 수동적인 자세보다는 적극적인 대처를 통해 미래에 다가올 위기를 극복해야 한다는 등 피상적인 방안뿐이다. 정부는 피상적인 탁상공론만 내놓을 것이 아니라 현재 에너지산업 정책 전반을 국민에게 납득시키고 구체적인 대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산업구조에 대해서도 각 산업별로 기후변화협약에 대비한 모델을 제시하고, 실효성 있는 지원 방안을 마련하길 바란다. 아울러 국민 개개인이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공감대를 갖고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문태엽/경기 용인시 죽전동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