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냐면
지난 3월27일 전남 여수 낙포 부두에서 처음 시작된 대북 비료지원 30만t 수송이 6월 말까지 완료될 예정이다. (사)한국부산물비료협회는 2006년부터 축산협회(대한양돈협회, 전국한우협회, 한국낙농육우협회, 대한양계협회) 및 대북 관련 단체들과 함께 대북 비료지원 때 화학비료와 유기질비료(축분 퇴비)를 함께 공급하는 것이 ‘북한 땅 살리기 및 식량 증산 효과, 남한의 축산발전 기여 및 환경문제 해결에 도움이 된다’는 공동의 인식을 가지고 통일부, 농림부, 청와대 등 관계부처에 화학비료와 유기질비료를 함께 공급할 것을 주장했으나, 정부는 북한 사정과 여러 이유를 들어 난색을 표했으며, 우여곡절 끝에 화학비료만 공급하기로 결정했다. 오랫동안 산성화된 북한 토양에화학비료만 쓰면 환경오염 가중
남쪽은 처리못해 해양투기하는
축분 북에 보내면 일석이조 효과 그러나 대북 비료지원이 이번으로 끝난 것은 아니다. 이에 한국부산물비료협회는 차후에 있을 대북 비료지원 사업에 화학비료와 축분 퇴비를 병행해서 지원할 것을 요청한다. 2006년 12월 통일농수산정책연구원에서 농림부에 제출한 ‘남북 농업협력 체제 하의 북한의 비료부족 해결을 위한 남한 가축분의 자원화 방안과 북한에서의 활용 방안’ 용역보고서를 통해, “북한이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는 속효성 화학비료는 토양 유기물 함량을 높이는 지력증진의 노력 없이 계속 공급할 경우, 작물에 흡수되기 전에 토양유실로 환경오염만 가중시킬 뿐 실효성이 없다”며 “북한에 퇴비와 화학비료가 함께 적정 공급된다면 현재 생산성은 크게 늘어날 것”이라고 분석 발표한 적이 있다. 북한은 식량난 가중과 함께, 심각한 비료 부족을 겪고 있으며, 해마다 정부에 비료지원을 요청하고, 정부는 인도적 차원에서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화학비료의 지원만으로는 북한의 토질개선 및 비료부족 상황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는 없다. 현재 북한의 토양은 퇴비의 절대 부족으로 십수 년 이상 토양 산성화가 진행되어 왔다. 화학비료를 흡수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유기물도 토양에 남아 있지 않아, 유기질 비료 공급 없는 화학비료 지원은 비료성분의 유실로 하천 및 바다의 환경오염만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인도적 차원에서 진행되는 북한에 대한 비료지원은 토양 산성화를 막을 수 있는 유기질 비료와 증산을 위한 화학비료의 지원이 병행 지원되어야 한다. 이에 시급하게 대북 비료지원의 우선순위를 유기질 비료에 두어 땅심을 살리는 작업을 시작해야 할 단계에 와 있다. 반면, 남한은 축산업의 발달로 대량 발생되는 가축분뇨가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여, 연간 260여만t씩(570억 소요) 해양에 투기되고 있으며, 가축분뇨를 활용한 퇴비도 생산 가동률이 70%를 밑돌 정도로 재고량이 쌓여 있다. 가축분의 해양투기는 심각한 해양오염을 야기해 서해와 동해를 죽음의 바다로 만들고 있다. 해양 투기되는 가축분을 유기질비료 생산에 활용해, 이를 북한에 지원할 수 있게 된다면 환경오염 방지는 물론 북한 농업회생을 한걸음 앞당기고,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등 시장개방 앞에 점점 어려워지는 남한의 축산농가를 돕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런던협약 등 해양투기를 규제하는 국제협약으로 이미 우리나라는 2012년까지 가축분뇨 해양 투기를 전면 중지한다는 목표 아래 그 처리방법에 고심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유기질비료(축분 퇴비)의 대북 지원은 통일 후 한반도 농업환경은 물론 당면한 북한의 지력 상승과 남쪽의 과잉축분을 해결하는 상생의 효과를 거두기 때문에 유기질비료를 대북 비료지원 사업에 포함시키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김상원 (사)한국부산물비료협회장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