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냐면
생태보전 시대적 소명따라 없는 공원도 만들어야 할 판에생태 보금자리 파헤치겠다니…
서남부권 개발도 무리한 계획
시는 당장 백지화하라 지금 대전에선 월평공원과 갑천을 관통하는 도로건설을 강행하려는 시와, 자연생태 그대로 보존하려는 주민들과 시민단체들이 맞서고 있다. 월평공원은 120여만평이 넘는 도심 안의 생태숲으로, 그동안 여러차례 개발 위기를 넘기며 이곳을 사랑하는 많은 이들과 주민들의 보살핌 속에서 지금까지 잘 보전되어 오고 있다. 대전시의 허파 구실을 하는 월평공원은, 도솔산을 포함한 세 봉우리가 있고 그 곁에는 갑천이 흐르고 있어, 산과 하천과 숲과 습지가 만나는 더할 나위 없는 생태적 보금자리다. 그뿐만 아니라 이곳에선 하루 천여명이 넘는 주민들이 찾아 자연을 호흡하고 삶의 활기를 얻어가고 있다. 이곳을 이용하는 주민들 스스로 자연생태계가 손상이 될까 등산로를 정비하고 나무를 심고 가꾸는 등 온갖 정성을 기울인다. 더구나 올해 초에 관통도로가 건설된다는 소식이 들려온 때부터 인근 주민들을 중심으로 관통도로를 백지화하도록 등산로 서명운동, 에스오에스(SOS) 월평공원갑천, 아파트 베란다 깃발달기 운동, 습지보호지역 주민청원, 출근길 홍보활동 등을 꾸준히 펼치고 있다. 그러나 대전시는 주민들의 이런 뜻을 무시한 채 올해 말 공사 착공을 위한 절차를 서둘러 밟고 있다. 대전시는 1991년에 그어 놓은 대전의 동서축 연결도로를 공사의 근거로 삼고 있는데, 이는 대전시가 생태와 녹지공간의 절실함을 요구하는 시대적 요구에 얼마나 구태의연한 태도로 일관하는지를 보여주는 근거가 된다. 오히려 대전 서남부권 개발을 위해서라도 배후에 월평공원과 같은 우수한 생태지역을 보존해야 한다. 인근의 신설 세종시만 해도 도시 중심 210여만평의 녹지와 강을 개발하지 않고 그대로 둔 채 도시를 건설하고 있다. 왜 대전시는 지방자치단체가 앞장서서 그동안 우수하게 보존된 이 생태공원과 하천을 훼손하려고 하는가? 20년 지난 도시계획을 백지화하고 환경 중심의 시대적 요청에 맞게 월평공원과 갑천의 보존을 전제로 한 도시계획을 다시 세우기를 요청한다. 또한 대전시는 서남부권 개발을 이유로 들어 월평공원 관통도로의 불가피성을 주장한다. 그러나 서남부권 개발 자체도 무리한 계획이다. 대전시는 서남부지역에 2030년까지 인구 20만명이 유입될 것이라고 보고 서남부 개발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통계청이 발표한 자료를 보면 2006년 말 대전 인구는 148만명이었고, 2030년에는 160만명에 지나지 않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 숫자 또한 행정도시인 세종시로 빠져나갈 인구가 반영되지 않은 것이다. 지금과 같이 20만명 규모로 서남구권을 개발한다면 원도심의 극심한 공동화 현상이 둔산 등 대전 전체로 확산될 것이다. 따라서 서남부권 개발을 1단계 6만5천명 유입에서 종료하여야 하며, 이에 맞추어 교통수요 예측도 다시 할 경우, 월평공원 관통도로는 백지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관통도로 백지화를 주장하는 우리들의 요구사항을 그동안 시당국에서는 외면해 왔을 뿐만 아니라, 절차상에도 상당한 흠결이 있다. 지난 5일 대전시는 토지공사와 공동으로 세 곳에서 주민설명회를 하겠다는 내용을 시정 홈페이지에 싣고, 바로 다음날인 6일부터 설명회를 시작하였다. 또한 내동사무소 설명회에서는 반대의견을 표명하는 주민의 발언을 막는 일까지 벌어졌다. 애초부터 시당국은 주민들의 의견 청취는 뒷전이고 설명회를 공사로 가는 요식절차로 삼았음이 방증된 셈이다. 시는 공청회도 반대하는 주민들의 참여를 배제한 채 시가 추천한 교통·환경전문가들로 구성된 패널로 진행했다. 대전시는 더는 늦추지 말고 속히 결단을 내리기 바란다. 무엇보다 우리들의 미래세대를 생각하기 바란다. 자연생태 보전이라는 시대적 소명에 맞게, 그리고 우리 지역 대전시민들의 건강한 삶의 터전을 위해 월평공원 관통도로 백지화를 촉구한다.
조세종/월평공원갑천지키기 주민대책위 공동대표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