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8.03.13 18:37 수정 : 2008.03.13 18:37

왜냐면

방영 뒤 사라진 ‘YTN 돌발영상’
/사제단 회견 앞서 청와대 브리핑
사전정보 수집 어찌 가능했는지
즉시 사건 진실을 밝히길 바란다

천주교정의구현 전국사제단이 삼성 떡값을 받은 정부관료 내정자를 발표한 기자회견 등을 다룬 <와이티엔> 돌발영상 ‘마이너리티 리포터’ 삭제 사건이 화제다. 방영 직후 각종 포털, 손수제작물(UCC) 사이트 등에서 갑자기 사라져 논란이 끊이질 않고 있다. 언론운동 단체 등은 청와대 입김이 작용했을 것이라고 본다. 청와대도 <와이티엔>에 엠바고를 요구한 돌발영상의 보도 경위를 알아봤다고 밝힌 점을 보면, 그럴 만한 오해의 소지가 있다. 동영상 삭제 소식이 알려지면서 돌발영상을 미리 녹화 저장해 놓은 누리꾼들에 의해 ‘마이너리티 리포터’ 돌발영상은 현재도 인터넷상에 급속도로 번져 가는 상태다. 청와대가 나선 게 사실이라면 헛수고만 한 꼴이 됐다.

어쨌든 이 사건이 중요한 것은 사제단이 떡값을 받은 관료 내정자 명단 발표 기자회견 1시간 전인 5일 오후 3시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이 선수를 쳐 청와대 기자들에게 “떡값 받은 관료 내정자는 없다”고 발표한 데 있다. 청와대가 사제단이 발표할 예정인 떡값 관료 내정자를 어떻게 알고 조사해 들어가 ‘떡값을 받았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고 했는지 아무래도 이상하다.

사제단은 기자들에게 미리 정보를 준 적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발표를 한 이동관 대변인이 직접 나서 사제단을 감시·관리해 정보를 빼낸 것도 아닐 테고, 어떻게 해서 청와대가 이런 정보 수집이 가능했는지 궁금하기 짝이 없다. 이동관 대변인은 즉시 사건의 진실을 밝혀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것이 사건의 본질이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추측 가능하듯, 국가권력을 이용한 청와대의 부당 정보 취득으로 추정된다. 국가권력이 사제단을 감시해 정보를 빼냈다고 볼 여지가 농후하다. 만약 그렇다면 정부는 불법을 저지른 것이다. 바로 이명박 정부의 언론관이 의심스러운 대목이다. 청와대 쪽은 기자들에게 사제단 기자회견 이후로 기사를 쓰라고 엠바고 요청을 했다고 말하고 있지만, 청와대 브리핑은 5일 3시, 사제단 기자회견은 청와대 발표 1시간 후인 4시다. <와이티엔> 돌발영상 첫 방송시간은 7일 오후 2시30분이니까 엠바고를 요구한 시효는 끝난 시점이다. 그래서 돌발영상 방송을 문제 삼을 수 없는 것이다. 사건과 관련해 이 대변인은 “떡값 받았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는 멘트와 영상만이 보도될 것이라고 믿었던 것이 화근이 된 셈이다. 기자회견 몇 분 전 떡값 받은 관료 내정자들에 대해 기자들에게 미리 해명한 청와대를 두고 사제단은 ‘도둑이 제 발 저린다’라는 말을 사용했다. 청와대는 이 말의 깊은 의미를 잘 되새겨야 할 것이다.

김철관/한국인터넷기자협회 수석부회장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