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냐면
영문과 졸업생이 영어못하는 불편한 진실문제 해결은 영문과 교수들이 쥐고 있다
연수 학점 인정하면서 어학 향상에 무관심
영문과는 몰입교육을 해야 한다 한국의 영문과 졸업생이 영어를 못한다는 비극은 매우 불편한 진실이 된 지 오래다. 학과 간판을 영문학과에서 영어과로 고치고 학문 분야별 구색을 맞춰 커리큘럼을 짠다고 이 비극이 해결될 수 없다. 원인을 알고 제거해야 한다. 과연 무엇이 문제인가? 영어를 제대로 가르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문제 해결의 열쇠는 영문과 교수들이 쥐고 있다. 연수를 가는 것이 나쁜 것이 아니라 연수를 갈 수밖에 없는 교육 제도가 문제다. 주지하다시피 영어를 잘하려면 영어권 국가에서 학교를 다니는 것이 첩경이다. 차선책은 한국 학교에서 영어 몰입교육을 하는 일이다. 그런데 한국 대학 영문과 현실은 몰입교육이나 이중언어 교육과는 전혀 거리가 멀다. 교수들은 실용영어는 학원에서 배우면 된다고 한다. 실용영어를 상아탑에서 하기에는 격이 낮다는 말로 들린다. 그러면서 연수는 장려하고 심지어 연수 가서 취득한 읽기, 듣기, 말하기, 쓰기 과목 즉, 기본 과목 학점이라도 한국 대학에서 전공 학점으로 인정을 해주기도 한다. 그만큼 영어권 나라에서 하는 공부를 높이 쳐주는 것이다. 영어권 연수를 다녀오면 확실히 영어 실력이 더 향상된다. 몰입교육이 되기 때문이다. 영문과생은 등록금 외에 추가로 돈을 내고 타국에서 몰입교육을 받고 온다. 영어를 잘 읽고 듣고 말하고 쓰는 공부가 격이 낮은 공부일까? 영어의 기본 실력이 안 된 학생들에게 학문을 강요하는 고문이 계속되고 있다. 학생들은 한국어로 진행되는 그런 수업 따라가느라 시간만 낭비하고 있다. 뭔가 고상한 것을 배우긴 배운 것 같은데 영어는 엉망이다. 3학년을 마치는 학생들은 중대한 결심을 해야 한다. 3년 동안 열심히 했건만 영어는 여전히 바닥이다. 결국 제대로 영어 공부를 하기 위해 휴학을 하거나 연수를 다녀와야 한다. 이런 비효율을 막으려면 영어로 강의하는 몰입교육부터 해야 한다. 남이 영어를 잘 말하고 쓰는 것을 속으로 부러워하면서도 학생들이 영어를 잘할 수 있도록 영어로 가르치지 않음은 무슨 연고일까? 언어 습득이 학문보다는 학습에 가깝다는 사실을 모르는 건가? 자신의 전공 학문을 영어로 가르칠 실력이 없어서일까? 사실이 아니라고 믿는다. 교수의 집단 아집 때문에 학생들의 배울 권리가 박탈당하고 있다면 과장일까? 영문과 교수들은 영어교육 전문가들이다. 영어를 어떻게 배워야 하는지 누구보다 잘 안다. 그래서 자기 자식들은 조기 유학 보낸다. 유학비는 어디서 나왔는가? 가르치는 학생들의 등록금이다. 학생에게 양질의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고 진실을 외면하는 행위는 미필적 고의에 의한 착취다. 영문과생들은 대학에 와서조차 몰입교육을 못 받고 자신의 전공을 떳떳이 밝힐 수 없는 비극의 주인공이 되고 있다. 영문과는 당연히 원어민 교수나 영어 구사가 자유로운 교수가 영어로 강의해야 한다. 허준 선문대 통역번역대학원 교수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