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9.04.12 17:33 수정 : 2009.04.12 19:01

왜냐면

한겨레를 읽고

4월3일치 ‘여론’란에 기고한 김형경씨의 화두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일제시대’, ‘일제 식민지’, ‘일제 강점기’ 등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표현을 검토하는 것은 결코 “용어 하나를 가지고 시시콜콜 따지는” 일이 아니었다. ‘일제 식민지’나 ‘일제 강점기’는 과연 너무나 수동적인 느낌을 준다. 너희들은 그때 뭘 했기에 강점을 당했느냐고 묻고 싶은 마음이 절로 난다. 그때그때 문맥에 따라서 여러 가지 변화가 있을 수 있겠지만은, 나는 김 작가의 걱정을 덜어주는 말로서는 일단 ‘실국(失國)시기’나 ‘망국(亡國)시기’가 사실 그대로를 나타내는 말로 쓸 만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행동 주체를 일본에게 넘겨주지는 않는 데에 취할 점이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글 중 마음에 걸리는 데가 있었다. “지금이라도 친일파를 색출해서 정의의 심판대에 세워야 한다”는 것이 왜 “분노를 진정한 대상에게 쏟지 못한 채 만만한 상대에게” 전가하는 행위가 될까? 매국노는 적 못지않게, 혹은 그 이상으로 진정한 분노의 대상이며, 차세대 교육을 위해서 꼭 필요한 일이다. 그리고 “우리에게는 조국해방을 위해 싸우던 독립운동가들이 있었다”고 하는 것을 왜 ‘나르시시즘’이라 이르는가? 실제 생명을 바치고, 가족을 버리고 풍찬노숙하던 분들을 혼자서 공상만 하는 사람들과 같이 말해도 될 일인가? 비록 세계적 판국의 변화로 우리는 광복을 맞이했지만, 그들이 없었다면 정말 우리는 수동적인 짐승 같은 민족으로 남는다.

최찬식 인경학사 대표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