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1.05 08:46 수정 : 2011.01.05 08:46

현 정부의 대북 강경정책이 올해에도 계속될 듯하다. 이럴 때일수록 시민의 힘으로 남북관계를 풀 수 있는 획기적인 행동에 나서야 한다. 지난달에 450여 단체로 구성된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와 ‘시민평화포럼’이 호소문을 냈지만 정부는 꿈쩍도 하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시민들의 힘을 어떻게 집결할 것인가?

현 시기 남북관계를 풀려면 대북투자조합 같은 형태로 시민들의 힘을 모아야 한다. 대북투자조합은 단순히 돈을 모아 남북경협사업을 하는 차원을 넘어 시민들이 현 정부의 대북정책에 확실히 반대한다는 의사표시가 된다. 한 계좌 10만원씩 1천 계좌를 모으면 1억원이 모이고 1만 계좌를 모으면 10억이 된다. 이 정도면 촛불과 서명운동을 능가하는 시민의 힘을 보여줄 수 있다.

실제로 대북투자사업을 하기에도 충분한 금액이다. 현재 정부가 허가하지 않을 텐데 어떻게 하느냐는 지적이 있을 수 있다. 정부의 불허 방침이 예상되기에 대북투자조합은 더 큰 시민운동이 될 수 있다. 참여하는 시민들이 지역별로 직군별로 간담회를 하고 교육에 참여한다. 저절로 넓은 범위에서 다양하고 활발한 통일운동을 벌일 수 있는 기회가 되는 것이다.

남쪽 시민들의 뜻은 현 정부의 방침과는 다르다는 점을 북한에 보여주는 의의도 크다. 다수의 시민들은 북한과 경제교류를 원하고 있고 준비하고 있다는 메시지다. 이는 북한이 현 정부의 강경책에 조응한 맞대결 방침을 채택할 개연성을 줄여준다. 대결이 아닌 평화를 선택하게 하는 것이다.

야당에서는 남북관계를 풀기 위해 시민의 힘을 집결하는 대북투자조합 결성과 운영에 나서는 각종 법제도적 장치들을 풀어주는 역할을 하면 된다. 강한 실천이 필요할 때다.

권영태 ‘대북투자연구회’ 운영자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