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11.07 19:32 수정 : 2012.11.07 19:32

일러스트레이션 유아영

올겨울도 기록적인 한파가 예고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벌써부터 집에서 패딩 점퍼에 목도리, 장갑까지 끼고 생활하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에너지 빈곤층으로, 난방·취사 등을 위한 에너지 비용이 소득의 10% 이상을 차지해 에너지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다.

날씨가 춥거나 아주 더운 이상기온 현상을 보일 때면 제대로 된 에어컨과 보일러를 사용할 수 없어 목숨을 잃은 이들의 이야기를 우리는 뉴스에서 심심찮게 접하곤 한다. 세상엔 아직도 에너지 열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방증이다. 이는 대한민국 전체 가구 가운데 8% 이상 즉, 120만가구가 처한 현실이다.

에너지 구입비 부담은 저소득층으로 갈수록 커진다. 주택의 단열재 사용이 부족해 냉난방비가 많이 들고, 에너지 효율 등급이 낮은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특히 이런 저소득층은 도시가스, 지역난방 등 에너지 공급망이 제대로 구축되지 않은 곳에서 사는 경우가 많아, 현실적으로 에너지를 이용하는 데 있어 어려움이 큰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이런 근본적인 문제보다 더 큰 문제는 우리들의 무관심이다. 일반 국민들은 에너지 빈곤층에 대해 잘 모를뿐더러 저소득층 가구와의 차이에 대해서도 잘 알지 못한다. 에너지 빈곤은 기본적인 생활조차 영위하지 못하게 만드는 근본적인 문제임에도 대다수의 국민들은 이를 중요한 사회문제로 생각하지 않고 있다.

무심결에 넘기는 일이 많지만, 에너지 사용은 생존권과 맞닿아 있다. 따뜻한 밥을 지을 수 있는 것도, 해가 짧아진 겨울 따뜻한 집에서 몸을 녹일 수 있는 것도 모두 에너지가 있어야 가능한 일이다. 에너지는 의식주를 갖추게 하는 필수적인 요소이기 때문에 에너지의 빈곤은 결국 사람답게 살 수 있는 권리를 빼앗는 것과 같다.

이렇게 기본적인 생활권과 맞닿아 있는 에너지 빈곤층의 문제는 단순한 복지 차원에서 더 나아가 인권의 개념으로 접근해야 한다. 정부는 현재 이 120만가구로 추정되는 에너지 빈곤층을 2016년까지 0%로 만들겠다는 ‘에너지 빈곤층 제로화’ 목표에 따라 이들을 다방면으로 지원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부의 정책이 효율적으로 작용해 더 큰 효과를 낳기 위해서는 우리 사회에서 에너지 빈곤층의 문제에 관심을 갖고, 그들의 생존권 보호에 적극 동참하는 분위기를 만들어가야 할 것이다.

대한민국 120만가구의 생존권은 국민들의 관심에 달려 있다. 정부의 노력과 전국민의 관심이 모여 시너지 효과가 일어난다면, 추위에 떠는 국민들은 사라질 것이다. 지금도 생존을 위해 싸우고 있는 에너지 빈곤층의 현실을 살펴보고 그들만의 힘겨운 싸움에 우리 모두 손을 내밀어야 하지 않을까?

박보영 홍익대 광고홍보학부 대학생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