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냐면] 지역문화 진흥책 놓고 경쟁하라 / 장신규 |
대선이 30일 앞으로 다가왔지만, 정작 문화정책의 근간이라 할 수 있는 지역문화 진흥정책은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가 내놓은 지역문화진흥법 제정, 문화기본법 제정 등 이외에 별다른 대안 제시가 없다.
우리 사회는 저성장·고실업 시대, 경제적 양극화의 문화적 양극화로의 확대 양상, 고령화·지식기반 사회로의 진입이란 새로운 사회경제적, 문화적 환경 변화를 맞으며 급격하게 ‘아주 특별한 위험사회’로 진입했다. 어떻게 하면 이런 사회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지금 우리가 공유할 가치는 무한 경쟁이 아니라 더불어 잘사는 공동체의 회복이다. 지역은 주민들이 시간과 공간을 함께하는 삶의 구체적인 터전이다. 일상생활을 통해 감정·정서·경험이 축적되고, 생산과 소비, 구상과 실천이 함께 이루어지는 현장이며, 그 안에서 누리고 표현하는 구체적인 삶의 결과물들이 모여 바로 지역문화를 이룬다.
따라서 지역문화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함은 시민들의 생활에 창의력과 활력이 돌게 하여 무너진 공동체를 자발적으로 되살리는 과정, 곧 역동적인 생활문화공동체운동으로 이어진다. 문화를 매개로 개인 간, 가족 간, 소집단 간의 긴밀하면서도 감성적인 접촉을 통해 상호 돌봄이 가능한, 촘촘한 안전망이 살아 숨 쉬는 사람 중심의 지역공동체를 상상해 본다.
대선 후보들에게 바란다. 민주주의의 근간인 참여와 자치를 통한 온전한 자치 실현과 지역문화 진흥을 기반으로 한 지역공동체의 회복에는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다. 이 점에서 여야가 각각 제출한 ‘지역문화진흥법’은 이번 정기국회 회기 내에 꼭 합의처리돼야 한다. 단순히 표를 얻기 위한 문화정책이 아니라 진정성 있는 지역문화 진흥정책 수립에 대한 국민적 요구를 실천으로 옮길 때다.
아울러 대선 후보 간의 활발한 문화예술 정책경쟁을 통해 재난 상황에 처한 지역사회의 현실과 지역의 문화생태계에 대한 창조적 담론과 대안 제시의 장이 형성되길 바란다. 그리하여 이 과정에서 ‘아주 특별한 위험사회’를 낳은 사회경제적 요인과 문화적 요인이 서로 분리·단절되어 있지 않으며, 이들의 융합을 통해 주민의 삶의 질과 공동체의 질을 한 단계 높이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가치와 철학의 공유가 함께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장신규 전국지역문화재단연합회 회장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