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2.11.21 19:31 수정 : 2012.11.21 19:31

우리 학계와 국민이 국립자연박물관을 갖자고 열망한 지도 20여년이 지났고, 정부가 한때 3년간 투자하며 기초연구보고서 10여건을 낸 지도 15년여가 지났다. 문민정부의 이 사업이 지속되었더라면 우리는 경제협력개발기구 나라 가운데 자연박물관 하나 없는 나라라는 치욕에서 벗어나 지금쯤 웅장한 국립자연박물관의 준공을 눈앞에 두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동안 정부는 국민과 학계의 간청을 외면하고 자연박물관 건립을 미뤄왔다.

국립자연박물관은 그 나라의 자연과 생태계를 국가 유산으로 미래세대에 영원히 물려주고 연구할 중앙은행이나 국립도서관과 같은 존재다. 미국의 국립자연박물관은 미국 국회의사당과 백악관 사이에 자리잡고 연간 800만명 이상의 관광객을 끌어들이고 있다. 영국·프랑스의 국립자연박물관도 연 300만명의 입장객을 자랑한다. 일반 자연박물관의 경우 미국엔 1000여곳, 영국·프랑스·독일 등에 각각 300~600여곳, 이웃 일본에도 150곳이 넘는다. 우리나라는 고작 10여곳에 불과하다.

얼마 전 문화체육관광부가 ‘박물관 발전 기본구상’을 내놓고 특정 지역에 설립을 추진하다가 여론 수렴이나 타당성 조사 없이 위치를 결정했다 하여 여론의 질타를 받았다. 정부 예산당국은 10여년 전 이 나라의 ‘싱크탱크’라는 기관에 박물관 건립을 두고 타당성 조사를 의뢰한 적이 있다. 당시 연구자 5명 가운데 자연박물관을 본 적이 있는 사람은 외부에서 참여한 한 사람뿐이었다. 문화부 역시 타당성 조사를 박물관과 아무런 관계가 없는 동굴연구소에 의뢰한 적도 있다. 일을 이렇게 처리하는 것은 순리가 아니다.

최근에 문화부는 국립자연박물관 건립 용역을 공모했다. 그러나 응모한 2개 단체 중 낙점된 곳은 ‘거대한’ 정부 출연기관이었고, 오랫동안 국내외 자연사박물관을 다니며 꾸준히 논문을 낸 전문가 집단은 낙방했다. 가장 전문성 있고 실적 있는 단체나 컨소시엄을 뽑는 공평무사한 심사를 간절히 바랐으나 결과는 그렇지 않았다. 그 정부 출연기관에 자연박물관 연구 실적이 있는 전문가가 있다는 말은 들어보지 못했다. 이래도 우리나라가 민주주의 국가요, 전문성과 원칙에 기반을 둔 투명행정 국가란 말인가? 문화부는 심사과정 일체를 공개해야 한다.

하버드대학의 저명한 진화생물학자 스티븐 제이 굴드는 그의 저서 <다윈 이후>에서 자신이 어렸을 때 자연박물관에 자주 데리고 간 아버지에게 이 책을 바친다고 썼다. 저명작가 헬렌 켈러 역시 <사흘만 볼 수 있다면>에서 둘째 날엔 자연박물관에 가서 과거 자연과 인류가 어떤 과정을 밟아왔는지 보고 싶다고 토로했다. 국립자연박물관은 8000만 한민족이 우리 자연에 대한 긍지와 자존심을 가꾸는 보루가 돼야 한다.

이병훈 전북대 명예교수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