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3.03.27 19:33 수정 : 2013.03.27 19:33

나는 1984년 한국전력에 입사한 뒤 30여년을 전력 현장에서 살았다. <한겨레> 22일치에 실린 이계삼 밀양 송전탑 반대대책위 사무국장의 칼럼 내용이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고, 전력 노동자들이 억울한 오해를 받을 소지가 있어 이를 바로잡고자 한다.

먼저, 한전에 ‘억대 연봉자가 적지 않다’는 오해를 풀 필요가 있다. 한전은 본사와 지방사업소, 국외현장 등에 전체 2만여명의 직원들이 있다. 그중 억대 연봉을 받는 직원은 극소수에 불과하다. 또한 한전이 ‘대기업인 민간 발전사로부터 입은 손해를 벌충하기 위해 765㎸ 송전선로를 만들었다’는 말에도 동의할 수 없다. 765㎸ 송전선로는 345㎸ 송전선로 3개에 해당하는 전력을 수송하여 국토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에 만드는 것이지, 한전의 손해를 벌충하기 위해 만드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한전은 민간 발전사의 과다한 이익을 막기 위해 3월부터 전력 상한 가격제를 도입했으며, 저소득층 전기 요금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다음으로 ‘한전이 밀양 송전선로 건설과 관련하여 소수의 마을 유력자들을 접촉하고 반대 주민들에게 고소·고발과 손배 가압류 조처를 했다’는 부분이다. 한전은 오랜 시간 지속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많은 대화와 협의를 해왔다. 지난 2월에는 현지에 ‘밀양 송전선로 건설 특별대책본부’를 만들어 더욱 진정성 있는 대화 노력을 하고 있으며, 한전과 일부 시공사가 주민을 상대로 제기했던 모든 고소·고발과 손해배상 소송을 취하하도록 조처했다. 특별대책본부의 한전 직원들은 지금도 문전박대를 당하면서 아침저녁으로 반대 주민들의 산속 움막을 찾아다니고 있다.

한전 본사 앞 천막농성 기간 중에 한전 직원 한 사람도 농성장을 찾지 않았다는 필자의 주장도 사실이 아니다. 한전은 인지상정도 없는 몰인정한 집단이 아니다. 관련 부서 직원들과 전력노조는 여러 차례 농성장을 찾아 ‘날이 추운데, 몸 상하지 않도록 하시라’며 간식거리를 전해드렸고, 특히 설 연휴를 앞두고는 따뜻한 꿀물을 전해드리며 ‘설 연휴 기간 동안 공사 재개나 천막 철거가 없으니, 귀향하셔서 편안하게 명절을 보내시라’는 최고경영자의 의지도 전했다. 당시 농성장에 있던 환경단체 관계자들도 우리의 방문에 감사를 표한 바 있다. 사실이 이러한데도 ‘한전 직원 한 사람 찾아오지 않고, 수고한다는 말 한마디 없었다’고 주장하고 있으니 농성장을 찾은 사람이 한전 직원이 아니면 도대체 누구란 말인가?

마지막으로, 밀양에 송전선로를 만드는 일은 칼럼에 나온 것처럼 그 지역 어르신들을 ‘호구’로 알고, ‘무른 메주 밟듯이 송전탑을 꽂는 것’이 아니다. 이 사업은 한전의 사익(社益)이나 대기업과 다른 지역의 편의를 위한 것이 아니다. 영남 지역과 지역 주민들을 위해 빛과 열을 보내드리기 위한 일임을 분명히 밝히고 싶다. 그런데도 밀양 송전선로 건설을 반대하는 입장과 논리만으로 한국전력을 이렇게 매도한다면, 앞으로 어느 누가 공적인 국가 기반사업을 수행할 수 있겠는가? 오늘도 전력 현장에서 구슬땀을 흘리고 있는 2만여 전력 노동자까지 일방적으로 매도하는 일은 다시 없어야겠다.

박흥근 전국전력노동조합 기획처장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