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냐면] 생활체육, 사회적 약자로 넓혀야 / 권영규 |
가을은 생활체육대회가 유독 많아 운동의 계절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올해 전국 규모의 생활체육대회는 정부명칭기·국민생활체육회장기·전국연합회장기 등 135개다. 765개 시도종목별연합회, 6393개 시군구종목별연합회에서 개최하는 대회까지 합하면 족히 1만개는 넘는다. 이렇게 많은 생활체육대회가 열리지만 운동을 즐기고 싶어도 즐기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사회적 약자인 어르신과 장애인, 다문화가족, 영세 소규모 사업장에 근무하는 근로자들은 생활체육 참여 환경에서도 소외받고 있다. 그러다 보니 우리나라 국민의 생활체육 참여율은 34.9%로 선진국(60~70%)과 많은 차이를 보인다.
정부는 매년 어르신들의 건강을 위해 경로당·사회복지시설 등 노인시설에 운동용품을 보급하고 있다. 운동용품 지원 사업이 효과를 얻으려면 프로그램과 지도자가 연계돼야 한다. 운동용품에 맞게 프로그램을 짜고, 생활체육 지도자들이 강습활동을 펼쳐야 한다. 그래야 어르신들이 흥미를 느끼고 꾸준히 운동에 참여할 수 있다. 올해 운동용품은 2000여곳에 지원된다. 노인시설 7만곳 가운데 3%도 안 된다. 이런 식으로 지원하면 30년이 더 걸린다. 어르신 특성에 맞는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도 더 개발해야 한다. 특히 어르신 전담 지도자가 많이 부족하다. 현재 830명의 지도자가 개인별로 어르신 7000명을 상대로 지도하는 셈이다. 어르신 전담 지도자를 늘리면 53.4%에 불과한 체육대학 졸업생의 일자리 창출에도 큰 도움이 된다.
다문화가족을 위한 생활체육 참여 프로그램을 많이 만들어야 한다. 정부 부처별로 다문화가족 지원 사업은 많으나 체육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은 없다. 체육활동은 다문화 구성원의 문화 적응 스트레스를 줄이고 사회 소속감을 높여준다. 이웃과의 유대감 형성에도 직접적인 도움을 준다. 일반 시민과 다문화가족이 함께 참여하는 생활체육교실이나 생활체육축제를 만들어 서로 소통함으로써 융화돼가도록 해야 한다.
소규모 사업장에 대한 직장체육도 강화해야 한다. 직장에서의 체육활동은 근로 의욕을 고취시켜 생산성을 높여 준다. 노사 화합을 이루는 데도 큰 역할을 한다. 하지만 사업장의 74.7%를 차지하는 100인 미만 업체에선 상황이 다르다. 이들 대부분은 근로환경이 열악하여 직장체육을 할 수 없는 상황이다.
국민생활체육회는 올해 10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 50곳을 선정하여 생활체육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희망하는 운동용품을 보내고, 생활체육 지도자 순회 지도를 펼치고 있다. 그 결과 사업장별로 직장동호회를 결성하는 등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그런데 이 사업이 한해 시작하고 바로 폐지될 위기에 있다. 사업 효과에 대한 검증도 없이 사업 예산 전액이 삭감됐다. 전형적인 일회성 전시행정이 아닐 수 없다. 국가와 사회는 국민의 행복추구권을 보장할 무한한 책임이 있다. 행복한 삶을 열어주는 생활체육은 국민이 마땅히 누려야 할 기본권이다.
권영규 국민생활체육회 사무총장
댓글 많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