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5.02.23 18:51 수정 : 2015.02.23 18:51

얼마 전 우리나라가 13년째 초저출산국가 타이틀을 유지하고 있다는 기사를 접했다. 출생아 수가 꾸준히 감소하는 것과 더불어 필자가 진료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또 다른 현상은 미숙아와 저체중 출생아가 꾸준히 늘고 있다는 점이다. 실제로 2.5㎏ 미만의 미숙아 및 저체중 출생아는 20년 전에 비해 꾸준히 증가해 그 수가 2배가량 늘었다.

그러나 미숙아와 저체중 출생아의 따라잡기 성장의 중요성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는 부모를 만나기란 쉽지 않다. 특히 부모가 쉽게 간과하는 부분은 저체중아로 태어나 2~3살 때까지 따라잡기 성장이 안 된 아이의 경우, 어른이 돼서도 키가 심하게 작은 저신장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점이다. 출생 후 대개 첫 1개월부터 2~3살까지 활발하게 나타나는 따라잡기 성장은 저체중 출생아의 80~85%에서 나타난다. 하지만 10~15%의 아이들은 4살이 지날 때까지도 따라잡기 성장이 이뤄지지 않아 결국 저신장으로 남게 된다. 소아내분비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성장호르몬 등의 전문적 치료가 병행돼야 하지만 병원을 내원해 성장호르몬 치료를 고려하는 부모는 5% 안팎에 불과하다.

따라잡기 성장이 안 된 저체중 출생아는 출생 이후 부모의 지속적 관심이 필요하다. 전문적 치료시기를 놓치면 키 성장 문제뿐 아니라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등 대사증후군과 같은 건강상의 문제가 성인이 됐을 때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숙아와 저체중 출생아에 대한 정부의 관심도 미약하다. 실제 대한신생아학회 조사 결과에 따르면 미숙아로 태어난 신생아 자녀의 의료비 충당에 대해 금전적 부담을 느끼는 경우가 10가정 중 6가정에 달한다. 그나마 정부의 지원도 대부분 출생 후 첫 신생아 집중치료실 입원 비용에만 한정되어 있다. 저체중 출생아 및 미숙아에 대한 부모와 정부의 관심은 출생 바로 전후에 국한할 것이 아니라 꾸준히 그리고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한다. 최근 반가운 소식도 있었다. 자궁 내 성장지연에 의한 저신장에도 성장호르몬 치료에 대한 보험 급여가 인정돼 부모의 경제적 부담이 완화된 것이다.

채현욱 강남세브란스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