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왜냐면] 대법관 증원은 해답 아니다 / 송대한
    상고법원 관련 법안에 대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심사가 예상되면서 여러 대안이 제출되고 있다. 그중 ‘대법관 증원’에 대해 평소에 가졌던 의문점을 써보고자 한다. 증원론자는 올해 1월 대한변협 설문조사 결과 51%가 대법관 증원...
    2015-06-15 18:53
  • [왜냐면] 병원 입원·응급실 환기 시스템 손봐야 / 문영호
    필자는 공과대학을 졸업한 벤처기업의 대표로 국내 의과대학 및 공과대학의 교수님들과 이번 메르스 사태의 문제점을 논의했습니다. 그 종합된 의견을 독자들과 나누려 합니다. 이 문제의 핵심은 병원의 공기정화 시스템과 과밀한 ...
    2015-06-15 18:53
  • [왜냐면] 당신 자신의 삶이 더 소중하다-‘천재 소녀 오보’를 보며 / 한상원
    하버드와 스탠퍼드 대학에 동시 합격했고, 마크 저커버그에게도 영입 제안을 받은 수학 천재 소녀의 일화가 화제였다가, 지금은 이 모든 게 조작이었다는 보도가 나와 충격을 주고 있다. 밝혀진 바에 따르면 한 유학생이 주목받고 싶...
    2015-06-15 18:53
  • [왜냐면] 박애와 형제애는 다르다 / 이도경
    차광호씨가 굴뚝에 올라간 지 1년이 넘었다. 하지만 달라진 것은 없다. 그동안 같은 처지에 있는 동료들이 세상을 등졌고, 다른 동료들은 살아가야 할 길을 잃었다. 그리고 회사는 수익을 챙...
    2015-06-11 18:32
  • [왜냐면] 메르스에 대한 수많은 호언장담들 / 홍창의
    우리 사회는 편 가르고 단정적으로 말하기 좋아하는 사회가 되어 버렸다. 이번 메르스 사태도 단언하기를 좋아하는 사회의 병폐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사태 초기에 “개미 한 마리라도 지나치지 않겠다...
    2015-06-11 18:30
  • [왜냐면] 법 취지 무시하는 교육부의 시행령안 / 오길영
    지난 3월 ‘국립대 회계재정법’이 발효되었다. 국고회계와 기성회계로 이원화된 회계를 ‘대학회계’로 통합하여 총장이 자율적으로 편성 운영하고 재정위원회가 심의하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그런데 교육부는 대학의 자율적 재정운영을...
    2015-06-11 18:29
  • [왜냐면] 도시의 공존과 공영 / 정원오
    1975년, 강남구는 서울의 열두번째 행정구로 성동구에서 분구되었다. 1973년 말 5만명이었던 강남지역 인구가 불과 2년 만에 32만명으로 늘어서다. 12년 후 강남구민은 80만명을 넘어섰고, 1988년 강남구에서 서초구가 분리되었다. ...
    2015-06-08 18:47
  • [왜냐면] 언론은 메르스 확산 예방에 집중하길 / 윤장렬
    고국에서 전해지는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가 예사롭지 않다. 필자가 살고 있는 독일에서 접하는 요즘 한국 상황은 놀랍고 안타까워 말문이 막힐 지경이다. 중동지역의 바이러스가 한국까지 확산됐다는 것도 놀랍고, 감염자의 ...
    2015-06-08 18:46
  • [왜냐면] 메르스, ‘보건안보정책’ 맥락에서 접근해야 / 조성권
    내가 만일 반미 테러리스트이고 미국과 군사동맹을 맺은 한국에 대한 테러, 특히 생물테러를 시도한다면 한국을 아마도 테러 대상 1순위로 꼽을 것이다. 왜냐하면 현재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에 대한 정부 대응을 보면 한국에...
    2015-06-08 18:45
  • [왜냐면] 누가 다시, 시를 감옥에 가두려 하는가 / 정우영
    여리고 가난한 자들 편에 서서 부당하다고 말하자, 쇠고랑이 그를 옥죄려 듭니다. 평등한 나라에서 여럿이 함께 사람답게 살고 싶다고 외치자, 법이라는 격리의 재갈이 그를 잡아가려 합니다. 그가 누구냐구요? 송경동 시인입니다. ...
    2015-06-03 19:10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