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왜냐면] 대안이 도그마가 되어서는 안된다
    풍력발전 보급률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덴마크가 육지에서는 더 이상 풍력발전기를 건설하지 않기로 선언한 사실은 무시해도 되는 걸까? 지난 23일 ‘왜냐면’에 실린 염광희 씨의 반론은 우려되었던 반응이었다. 내가 반대한 것은 ...
    2006-05-29 20:47
  • [왜냐면] 서울시장 후보들께
    후보들이 서민처럼 보인다는 것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습니다. 서민은 아니지만 서민을 이해할 수 있다면 충분하다고 생각합니다. 서민을 진심으로 이해하고 싶다고, 노력하겠다고 솔직하고도 진지하게 호소하십시오. 얼마 전 한 케이...
    2006-05-29 20:45
  • [왜냐면] 한국사회에 부는 영어열풍을 바라보며
    걱정되는 것은 한국인의 영어에 대한 맹목성이다. 자국의 말글과 문화를 충분히 이해한 뒤, 외국어를 받아들여야 제대로 뿌리를 내릴 수 있다. 에스페란토어는 폴란드의 안과의사인 자멘호프 박사가 창안한 국제어다. 그는 자신이 살...
    2006-05-25 21:41
  • [왜냐면] 평택미군기지, 재협상 가능하다
    추가감축이 기정사실화하고 있는데도 미국의 반발이 두려워 사업을 강행한다면, 주민 삶의 파괴와 사회적·재정적 낭비는 누가 책임질 것인가? 정부는 경기 평택미군기지 확장사업이 한-미 합의이고 국회 비준 동의를 거친 국책사업이...
    2006-05-25 21:39
  • [왜냐면] 공교육에 대한 공격을 멈추십시오
    국제중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해외 영어연수를 받아야 한다는 말도 들립니다…초등학교의 평화도 이미 깨지고 있고 유치원생들마저도 사교육의 먹잇감이 될 것이 뻔하니, 어른들이 이토록 어린아이들에게 폭력을 써도 되는 것인지요. 1...
    2006-05-25 21:37
  • 애국가에 대한 ‘쿨’한 사고는 필요하다
    이 글은 5월 19일치 ‘왜냐면’에 목원대 문윤수 교수가 기고한 ‘상업예술과 애국심의 잘못된 만남’에 대한 반론과 보론이다. 지난 한일 월드컵에서 시민들은 대표적인 국가 상징 중 하나인 태극기로 갖가지 다양한 디자인의 옷과 ...
    2006-05-23 14:44
  • [왜냐면] ‘인도에 반한 죄’의 조속한 제정을
    법무부는 2004년 4월, 공소 시효를 배제한 ‘국제형사재판소 관할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안’을 입법 예고하였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2년이 지나도록 이 법안은 국회에서 처리되지 않고 있다. 올해로 5·18 광주민주화운동 26돌이...
    2006-05-22 18:30
  • [왜냐면] 풍력발전이 대안이다
    풍력발전은 가장 경제성 있는 재생가능 에너지원이다. 건설과 운영 과정에 발생한 작은 문제를 침소봉대해서 공해산업이라 매도해선 안돼 지난 17일 〈한겨레〉 기고에서 이승기씨가 지적한 풍력발전소의 피해 사례에 대해서는 안타...
    2006-05-22 18:27
  • ‘방과 후 학교’ 라고요
    나는 노무현 대통령이 이 신문을 읽으리라 여기면서 청와대 게시판 대신 여기를 택했다. 다른 독자들도 읽을 수 있을 테니…. 나는 교사다. 교육경력 11년이 넘은 교사다. 예비교사였을 때보다 교단에 선 이후 아이들을 더 사랑하고 ...
    2006-05-22 11:07
  • 대입전형, 대학을 믿지 못하는 이유?
    2008학년도 대입전형이 사회적 논란거리로 다시 등장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져가고 있다. 서울대 등 전국의 24개 대학입학처장과 한국대학교육협의회가 발표한 공동성명을 과연 믿을 수 있겠는가 하는 문제 때문이다. 공동성명의 ...
    2006-05-22 11:06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