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체육교육,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
    그들한테는 생동감이 넘친다. 낯섦에서 오는 어리숙함이 멋있다. 이런 새내기들에게 체육 관련 학과의 통과의례는 전근대적이고 꽉 막힌 구조다. 어느 대학 강사 시절의 3월. 체육관에 들어서면 당황스러운 일을 경험한다. 새내기...
    2006-03-13 18:30
  • 사립학교법 개정시행령 문제 있다
    이해 당사자들의 갈등도 조절해야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앞으로는 학교가 치부의 수단과 비리의 온상이 되지 않도록 투명하게 운영되는 것이다. 지난해 12월9일 개정된 사립학교법이 올해 7월1일부터 시행된다. 교육부는 사립학...
    2006-03-13 18:29
  • 세계적 양극화 해소에도 눈을 돌리자
    우리의 공적개발원조 규모는 지난해 국민총소득의 약 0.08% 규모에 머물 것으로 보인다. 이런 수치는 유엔이 이미 30년 전에 권고한 0.7%의 10분의 1 수준에 지나지 않는다. 일본의 원조액은 우리의 약 30배에 이른다. 요즘 우리 사...
    2006-03-09 17:42
  • 시골 아이들의 배울 권리
    모두들 더 크고 넓은 도시로 간다. 약자일 수밖에 없는 농·어촌의 해맑은 아이들을 단지 그 수가 적다는 이유로 국가가 포기한다면 말이 되는가. 도시의 신설학교 교사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배울 권리를 잃어버린 시골 학교 아이...
    2006-03-09 17:40
  • ‘비무장지대’ 독수리를 살리자
    이제부터라도 생태계를 존중하고 우리의 삶터인 국토를 아끼고 보호하는 통일정책을 세우고 추진해야 한다. 요즘 경기 파주 장단반도의 독수리들은 큰 어려움에 처했다. 먼나라 몽골에서 해마다 1000여 마리씩 날아와 이곳에서 겨울...
    2006-03-09 17:38
  • 민간의료보험 아직 이르다
    공공보험의 기반이 튼튼한 유럽 나라들과 달리 보장성이 취약한 상태에서 민간 의료보험을 도입한 칠레·멕시코 등의 공보험은 위기에 처했다. 최근 영리 의료법인 허용, 민간 의료보험 도입 등 정부의 의료 산업화 추진이 관련 학계...
    2006-03-09 17:34
  • 축구응원과 애국은 다르다
    태극기를 흔들고 정열적 응원’을 하는 것이 일본 식민 상황에서 독립운동을 하던 우리의 역사적 정서와 동일시되면서 ‘애국적 행동’과 혼돈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2006년 공중파 방송의 첫 뉴스는 독일 월드컵 축구 이야기...
    2006-03-07 00:08
  • 남북한 통합 국가상징 만들자
    새로 제정될 통일기와 통일가는 조선이 패망한 지 100년이 되는 2010년까지 적화통일도 흡수통일도 아닌 남북이 하나가 되는 한민족 평화통일 국가를 건국하는 데 커다란 기폭제가 될 것이다. 남북이 2006년 12월 카타르 도하에서...
    2006-03-07 00:06
  • ‘종교자유’ 국방부 시계는 몇시?
    지금도 군대에서는 사실상 3개의 종교만이 허용되는 셈이다. 종교의 자유는 인권 중에서도 국가권력이 무조건 허용해야 하는 절대적 자유다. 예전에는 미처 문제라고도 여기기 않았던 것들을 생각하게 되는 요즈음이다. 원체 인권...
    2006-03-02 22:00
  • 지방의원 유급제는 자치제의 ‘필요조건’
    월 200만원 안팎의 수당을 받고도 지방의원으로 활동할 수 있는 인물은 대부분이 이른바 지역유지라고 할 수 있는 지역토호 세력들이다. 상대적으로 전문직이라고 볼 수 있는 사무직 출신들은 전무하다시피 하다. 이미 알려진 바...
    2006-03-02 21:58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