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의료인 위탁교육 누구를 위한 건가
    이런 교육이라면 가까운 구청이나 군청 회의실에서 충분히 할 수 있다. 짜임새 없이 지루한 교육을 고집하는 속셈은 교육 수수료(2만2500원)라는 잿밥에만 군침을 흘리기 때문이 아닐까. 병·의원은 폐기물관리법 제40조 규정에 따라 ...
    2005-07-25 17:48
  • 달비골 터널공사 시민에게 물어라
    대구시는 이 사업의 첫 배경으로 ‘도심 교통체증의 심각성’을 들고 있으나 거짓이다. 전국적으로 제2의 원활한 교통소통을 자랑하고 있다. 더군다나 이곳 앞산의 교통 소통은 지극히 원활한 편이다. 지금 대구에는 ‘달이 비추는 신비...
    2005-07-25 17:46
  • ‘10대 동성애자’ 보도 문화방송은 사과하라
    이 프로그램은 성소수자들이 스스로 만든 단어인 ‘이반’을 ‘이성에 반대한다’라는 뜻으로 보도하고, 집계가 불가능한 10대 이반의 숫자를 ‘2만명’이라고 밝히는 등 객관적이지도 않은 사실에 기초하였다. 지난 7월13일 문화방송 ...
    2005-07-22 18:11
  • 지나친 경쟁으로 서울대생도 괴롭다
    서울대 학생들 또한 입시 경쟁의 피해자들이다. 살얼음판 같은 입시 경쟁에서 헤어나자, 기다리는 것은 대학내에서 동료 학생들과의 경쟁어었다. 서울대에서는 올해 상반기에만 4명의 학생이 자살했다. 서울대 입시안에 관한 논란...
    2005-07-22 18:08
  • 역사상 최악의 입시제도가 온다
    사교육비를 극대화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내신, 수능, 논술·구술 등 여러가지 전형요소를 엇비슷한 비율로 합산반영하는 것이다. 우리는 이미 1994~96학년도에 걸쳐 내신+수능+본고사라는 혹독한 입시를 경험했다. 그런데 당시와는 ...
    2005-07-22 18:05
  • 정당을 대변하는 신문발전위원 곤란
    신문발전위원 추천에서도 특정 정당에 직간접으로 관계한 인사는 우선 배제돼야 한다. 한국신문협회, 한국언론학회, 언론노동조합 등도 신문개혁과 과제를 실천할 수 있는 인사로 선임해야 한다. 신문법 시행에 즈음해 신문발전 ...
    2005-07-22 17:50
  • 서울대에 자율과 경쟁이 있는가
    국가가 독점기업을 규제하는 것은 경쟁을 부정해 시장경제에 관여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경쟁원리를 도입해 시장경제를 바로 세우려는 것이다. 서울대는 구조조정을 통해 국내의 다른 대학과 진정한 경쟁체제를 갖춘 뒤에 입시제도...
    2005-07-18 19:33
  • 폐차 냉매가스 반드시 회수해야
    1500~2000cc급 승용차 1대가 연간 4.5~4.7톤의 이산화탄소를 방출한다고 한다. 폐차가 방출하는 이산화탄소의 규모는 약 50만대의 차량이 내뿜는 것과 같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은 온실가스다. 그리고 이 온실가스 중 가장 악명 높은 ...
    2005-07-18 19:31
  • 정신질환 원인은 사업주에게 있다
    청구성심병원과 문혜요양원에서 정신질환이 발생한 피재해 조합원들은 사업주의 지속적인 부당노동행위 때문에 오랜 기간 고통받았고, 징계, 감시, 차별로 인한 스트레스로 정신질환을 얻게 되었다. 근로복지공단(이하 공단)은 반론...
    2005-07-18 19:23
  • 다양한 학교에 다양한 교육을
    ‘일반지능’에 대한 맹신을 버리지 못하고 있는 게 아닌지 의심한다. 통합교과형 논술이라는 게 따지면 일반지능을 본다는 것 아닌가. 일반지능에 대한 맹신이 개인과 국가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가로막는 문화적 기제임이 분명한...
    2005-07-15 20:22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