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나는 역사다] 돈스코이호가 들춘 한탕 심리 / 김태권
    드미트리 돈스코이, 1380년에 킵차크한국의 군대를 물리친 러시아의 영웅이지만 우리에겐 낯선 인물. 그런데도 이름이 귀에 익은 것은 배 이름 때문일 터. 러일전쟁이 터지자 세계 바다 ...
    2019-07-18 17:46
  • [김종철 칼럼] 도망갈 것인가, 싸울 것인가
    김종철<녹색평론> 발행인 아무리 둔하다고 해도 오늘날 세계 최대의 긴급 현안이 기후위기라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하기는 지구온난화를 인정하지 않는 사람들도 ...
    2019-07-18 17:46
  • [시민편집인 칼럼] 동아시아 미래, 과거사 매듭 풀기부터 / 신광영
    신광영중앙대 사회학과 교수일본의 ‘수출규제’로 시작된 한-일 사이 갈등이 연일 지면을 장식하고 있다. 아베 정부가 일본 기업의 고순도 불화수소 등 3개 품목의 한국 수출을 규제하면서 시...
    2019-07-18 17:46
  • [세상읽기] 동북아의 민주국가 / 주상영
    주상영건국대 경제학과 교수·국민경제자문회의 거시경제분과 의장 일본 아베 신조 총리의 꿈은 평화헌법을 개정해서 군대를 보유한 나라를 만드는 것이다. 연임을 3선으로 제한한 자민당...
    2019-07-18 17:46
  • [특파원 칼럼] 2020년 트럼프 슬로건은 ‘고 백’? / 황준범
    황준범워싱턴 특파원 미국을 왜 ‘멜팅 폿’(인종의 용광로)이나 ‘이민자의 나라’라고 부르는지에 긴 설명이 필요 없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때문에 하고 넘어가야겠다. 미국에 오...
    2019-07-18 17:46
  • [장석준, 그래도 진보정치] 노회찬이 남긴 꿈, 제7공화국
    장석준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기획위원 며칠 뒤면 고 노회찬 의원 1주기다. 아직도 엊그제 일 같은데 벌써 1년이 지났다. 다행히 때맞춰 그를 기리는 책도 나오고 여러 행사도 열린다고 ...
    2019-07-18 17:46
  • [조한욱의 서양사람] 문고본의 추억
    조한욱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문고본 전성시절이 있었다. 연배가 웬만큼 되는 책벌레들은 그 시절을 그리며 그 작은 책들이 자아의 형성에 얼마나 큰 역할을 했는지 더듬는다. ...
    2019-07-18 17:46
  • [세상읽기] 북한 헌법과 경제개혁 / 김광길
    김광길법무법인 지평 변호사 북한 주민 대부분은 북한 헌법을 알지 못한다. 남한에서도 북한에 헌법이 있는가 반문할 사람이 많다. 북한에도 헌법이 존재하며 시대의 변화에 맞춰 개정되...
    2019-07-17 17:23
  • [주주통신원의 눈] 평화의 길로 들어선 한반도 / 이래경
    이래경 ㈔다른백년 이사장 최근 미국 연방하원의회가 한국전 종전을 지지하는 내용으로 한반도 관련 국방수권법을 개정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임의로 이란과 전쟁을 개시하지 ...
    2019-07-17 17:23
  • [편집국에서] 평준화, ‘제대로’ 보완하자 / 이종규
    이종규디지털부문장 참여정부 시절이던 2004년, 한국 사회는 고교평준화 논쟁으로 홍역을 앓았다. 그해는 평준화 시행 30년이 되는 해였는데, 보수 언론이 ‘평준화 해체의 원년’으로 삼...
    2019-07-17 17:23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