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기고] 첫 판문점 북-미 정상회담의 의미 / 안문석
    안문석전북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우연과 돌발이 역사적 대변혁을 만들어낼 수도 있음을 새삼 실감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트위터로 시작된 첫 판문점 북-미 정상회담은 즉흥...
    2019-07-04 17:34
  • [나는 역사다] 성소수자운동의 선구자 / 김태권
    한국 사회에 낯선 이름. 그러나 성소수자운동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의학자. 사회가 성(sex)을 과학적으로 이해한다면 성소수자를 관용적으로 받아들이리라는 것, 동성애 성향을 후천적으...
    2019-07-04 17:34
  • [세상읽기] 한 이주민 가족의 이야기 / 황필규
    황필규공익인권법재단 공감 변호사 ○○행 기차를 탔다. 이 가족을 알게 된 지 6년 만의 첫 방문이다. ○○이 어디인지 밝힐 수가 없다. 이들은 나이지리아가 고향인 엄마와 그가 한국에서 ...
    2019-07-04 17:34
  • [조한욱의 서양사람] 이탈리아의 인연
    조한욱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교수 밀라노의 ‘17, 18세기 과학 철학 사상 연구소’와 나폴리의 ‘비코 연구소’가 병합되어 2002년 ‘근대 철학 과학 사상사 연구소’가 태어났다. 이 단...
    2019-07-04 17:34
  • [오금택의 100㎝] 7월 5일
    <한겨레 인기기사> ■ [단독] 박근혜 정보경찰, 황교안 총리실에도 사찰 보고서 돌렸다 ■ 문대통령 지지도 52.4%, 판문점 회동 효과로 7개월만 최고치 ■ 나경원 “근로기준법 시대 저물...
    2019-07-04 17:34
  • [김종구 칼럼] ‘상산고 사태’로 제기해본 엉뚱한 질문들
    김종구편집인 나는 한 지방도시에서 고등학교를 나왔다. 고교 평준화 조처 이전에 그 지역에서는 명문고로 불리던 학교였다. 서울 등 5대 도시와 달리 5년간 평준화 조처가 유예...
    2019-07-03 18:52
  • [세상읽기] 노동의 대화가 국경을 넘는 법 / 조문영
    조문영연세대 문화인류학과 교수 지난달 중순 베이징에 센터를 둔 미국 시카고대학에서 ‘노동자 문학과 미디어 실천’을 주제로 워크숍이 열렸다. 홍콩 시위 이후 중국 정부가 국외 학자...
    2019-07-03 16:37
  • [뇌부자들 상담소] 당신의 마음을 먼저 돌보아 주세요 / 오동훈
    오동훈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나는 한 대학병원의 소아정신과 의사로 근무하고 있다. 소아정신과라고 아이들만 상대한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아이들의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나아가 ...
    2019-07-03 16:37
  • [옵스큐라] 여섯개의 빛나는 점을 찍는다 / 백소아
    ‘잉~딸각’ ‘톡, 톡, 톡’ 서울중부기술교육원에서 열린 서울시 장애인기능경기대회 점역교정 종목 시험장에는 녹음기 돌리는 소리와 점자 찍는 소리만 가득합니다. 점관(6개 점으로 되어 있는...
    2019-07-03 16:36
  • [편집국에서] 홍콩에 가고 싶다 / 이용인
    이용인국제뉴스팀장 홍콩의 ‘범죄인 인도 조례’ 반대 시위가 한국에서도 적잖이 관심을 끌었다. 홍콩 인구 약 740만명 가운데 지난달 9일 100만명, 16일 200만명이 거리로 나왔으니 규모...
    2019-07-03 16:36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