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고] 누가 우리의 억울함에 답할까 / 미류
- 미류인권운동사랑방 상임활동가
압수수색 대응 요령 교육을 받은 적이 있다. 정당까지 강제해산시켰던 박근혜 정권 시절이었다. 교육을 듣고 나서야 알았다. 나는 압수수색에 대해 아는 ...
- 2019-10-02 17:45
-

- [세상읽기] 세대의 경제학 / 전병유
- 전병유한신대 교수·경제학
세대 이슈가 화두다. 586세대의 권력과 자원의 독점이 초래하는 세대 간 불공정과 불의의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한 비판도 만만치 않다. 세대 내 불평...
- 2019-10-02 17:45
-

- [공감세상] 미래는 어떻게 오는가 / 손아람
- 손아람작가
미국 민주당 대통령 후보 경선의 화두는 불평등이다. 엘리자베스 워런은 부유세를, 버니 샌더스는 상속세 강화를 해법으로 내밀었다. 조지 소로스를 비롯한 19명의 갑부들은 ...
- 2019-10-02 17:45
-

- [옵스큐라] 강한국군과 차별국군, 그 사이에서 / 백소아
- 국군의 날인 1일 서울 국방부 앞에서 국제앰네스티 회원들이 기자회견을 열어 군형법 제92조의 6 폐지를 촉구하고 있다. 군형법 제92조의 6 ‘추행’은 부대 안인지, 근무시간 중의 일인지의 ...
- 2019-10-02 17:43
-

- [밀레니얼과 Z사이] 첫 출근 브이로그가 던진 화두 / 권도연
- 권도연샌드박스네트워크 크리에이터 파트너십 매니저
첫 출근 브이로그가 화제다. 유튜브에 검색하면 나오는 수많은 첫 출근 브이로그들을 두고 요즘 내 주변은 꽤 흥미로운 논쟁이 이어...
- 2019-10-02 17:43
-

- [유레카] 극단의 정의, 극단의 불의 / 고명섭
- 정의의 여신 유스티티아는 한 손엔 칼, 한 손엔 저울을 들고 있다. 여신이 든 저울은 정의, 곧 법의 집행에서 필수인 균형 감각을 상징한다. 그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면 3800년 전 바빌로니...
- 2019-10-02 16:57
-

- [박찬수 칼럼] 윤석열과 검찰개혁의 역설
- 지난 주말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 일대에 울려퍼진 시민들의 외침은 ‘검찰개혁’이 피할 수 없는 절박한 과제임을 분명하게 드러냈다. 헌정사상 첫 정권교체를 이룬 1998년 4월, 김대중 대...
- 2019-10-02 15:16
-

- [아침햇발] ‘방검조끼’를 입은 자이니치 변호사 / 김영희
- 얼마 전 일본 우익들의 대량 징계청구로 자이니치(재일동포) 변호사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소식을 대한변협 관계자에게서 들었다. 지난여름을 달군 강제징용 판결에 대한 아베 정권의 수...
- 2019-10-01 18:25
-

- [유레카] 테라 아우스트랄리스와 마오리 원주민 / 조일준
- 테라 아우스트랄리스 인코그니타(Terra Australis Incognita). 라틴어로 ‘알려지지 않은 남쪽 땅’이란 뜻이다. 고대 그리스 자연철학자들은 기원전 6세기부터 지구가 둥글다는 ‘구형론’을 설...
- 2019-10-01 17:43
-

- [김상봉, 씨알의 철학] 대학은 꼭 있어야 하는가
- 몽테뉴는 <수상록>에서, 공연히 책은 써서 이름이 알려지니, 때로는 자기도 기억나지 않는 말을 자기 책에서 읽었노라 인용하는 사람까지 있다고 푸념한다. 철학자에게 허명은 뜬구름...
- 2019-10-01 17:06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