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광고

  • [이병천 칼럼] 한일갈등, 흔들림 없는 경제의 새 길 찾기
    이병천지식인선언네트워크 공동대표·강원대 명예교수 한-일 갈등 관련 소식이 줄을 잇고 있다. 피할 수 없는 관문이다. 대법원 판결이 일제 식민지배와 침략전쟁의 불법성 및 이와 직결...
    2019-09-05 18:04
  • [기고] 조국 사태, 여당이 잃은 것 / 이우창
    이우창인문학연구자 지난 2일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기자간담회를 시청한 사람들이 대체로 합의할 수 있는 사항은 다음의 두가지다. 후보자는 자신의 가족에 대해 놀라울 정도로 아...
    2019-09-05 18:04
  • [나는 역사다] 짧은 생을 살다 간 소월 / 김태권
    이름은 김정식, 소월은 호. 1902년 9월7일에 태어났다. 사랑받는 시인인데도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많다. 서른셋 이른 나이, 세상을 떠날 무렵의 사정도 마찬가지. 팔다리에 병이 나 무척 아...
    2019-09-05 18:02
  • [오금택의 100㎝] 9월 6일
    <한겨레 인기기사> ■ 유시민·김두관 “동양대 총장에 사실관계 확인차 전화” ■ 외신기자들, ‘반일 종족주의’ 이영훈 교수 초청 논란 ■ 폭우로 여의도 파크원 지하도 공사장에 싱크홀…일...
    2019-09-05 18:02
  • [한채윤의 비온 뒤 무지개] 9월9일 오전 10시10분의 대한민국
    한채윤한국성적소수자문화인권센터 활동가 업무상 위력에 의한 간음 4회, 강제추행 5회, 업무상 위력에 의한 추행 1회. 이것이 2017년 7월29일부터 2018년 2월25일까지 약 7개월간 자신...
    2019-09-05 18:02
  • [정찬의 세상의 저녁] 간독 시대의 언어
    정찬소설가 간독(簡牘)이라는 말이 있다. 중국에서 종이가 발명되기 전 글을 쓰는 데 사용하는 대쪽이나 얇은 나무쪽을 이르던 말이다. 간(簡)은 대나무를 쪼개어 만든 것이고 독(牘)은 ...
    2019-09-05 18:02
  • [조한욱의 서양사람] 컬럼비아대학교 1968
    조한욱한국교원대 명예교수 1968년 5월 프랑스 파리를 필두로 유럽의 여러 나라에서는 대학생들과 노동자가 연합하여 국가의 억압과 새로운 식민화에 반대하는 시위를 벌였다. 자본주의 ...
    2019-09-05 18:02
  • [최재봉의 문학으로] 박태순의 눈과 발
    최재봉책지성팀 선임기자 빈소는 한산했다. 문인들의 모습이 많이 보이지 않았다. 지난해 유명을 달리한 몇몇 문인의 장례에 견주어서도 빈소의 허전함은 두드러져 보였다. 그 허전함...
    2019-09-05 18:02
  • [특파원 칼럼] 혐오가 상품이 되지 않는 날 / 조기원
    조기원도쿄 특파원 ‘한국인은 왜 거짓말을 하는가’ ‘문재인에게 돌고 있는 인지증(치매) 의혹 소문’ ‘일본이 진짜로 마음먹으면 한국 경제는 한방에’. 일본 월간지 <윌>은 최근...
    2019-09-05 18:01
  • [김종구 칼럼] 작두 위에 올라탄 검찰
    김종구편집인 제15대 대통령선거전이 막바지로 치닫던 1997년 10월, 신한국당의 이회창 후보 쪽은 새정치국민회의 김대중 후보가 670억원의 비자금을 조성한 의혹이 있다며, 김 후보를 조세...
    2019-09-04 18:42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