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5.08.05 18:38 수정 : 2015.08.05 18:38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한다. 알은 곧 새의 세계이다.” 헤르만 헤세의 소설 데미안에 나오는 말이다. 알은 새로운 삶을 얻기 위해 반드시 깨뜨려야만 하는 껍질이다. 제주도 강정마을에서 마을 사람들의 꿈이요 생명의 바다의 쉼터인 구럼비라는 바위가 공권력의 이름으로 깨져나갔다. 정부는 그 현장에 군사기지를 만들 예정이다. 그러나 마을 주민들과 외지의 시민은 힘을 합해 거기에 새 생명들을 탄생시켰다. 아이들이다. 난 이 아이들이 이 나라의 구럼비가 되리라 믿는다. 배진일/서울 강남구 삼성동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한다. 알은 곧 새의 세계이다.” 헤르만 헤세의 소설 데미안에 나오는 말이다. 알은 새로운 삶을 얻기 위해 반드시 깨뜨려야만 하는 껍질이다. 제주도 강정마을에서 마을 사람들의 꿈이요 생명의 바다의 쉼터인 구럼비라는 바위가 공권력의 이름으로 깨져나갔다. 정부는 그 현장에 군사기지를 만들 예정이다. 그러나 마을 주민들과 외지의 시민은 힘을 합해 거기에 새 생명들을 탄생시켰다. 아이들이다. 난 이 아이들이 이 나라의 구럼비가 되리라 믿는다.

배진일/서울 강남구 삼성동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