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2.10 23:39 수정 : 2006.02.10 23:39

사설

사용자와 재계를 대표하는 이수영 한국경영자총협회 회장의 엊그제 기자간담회 발언은 우려를 넘어 섬뜩함마저 느끼게 한다. 그는 “민주노총이 파업을 하면 기업인들도 스트라이크(파업)를 할 것”이라며, “(국내기업이) 중국 등으로 가는 행렬이 더 심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와 노동계를 압박하려는 강성 발언쯤으로 넘기기엔 발상 자체가 위험하고 시대착오적이다. 기업이익을 위해서는 국민경제를 볼모로 삼을 수도 있다는 공공연한 협박으로 들린다. 그는 노동자의 고임금이 국내기업의 경영 악화와 국외 이전을 부채질한다고 강조했다. 재계의 속내가 노동 유연성보다 값싼 노동력에 있음도 숨기지 않았다. 저임금 구조에 의존했던 1970년대식 사고방식에서 조금도 벗어나지 못했음을 스스로 고백하는 꼴이다. 재계 대표의 경영철학이 이런 수준에 머물고 있다니 한심하고 답답한 노릇이다.

제조업 공동화 위기는 단지 기업의 문제가 아니다. 노·사·정 두루 국가경제 차원에서 머리를 맞대고 답을 찾을 과제다. 최근 일본 기업은 임금 부담을 생산성과 부가가치 향상으로 상쇄할 수 있다며 국외공장을 국내로 다시 옮기는 추세라고 한다. 우리 기업도 노조의 파업이나 정부 정책을 탓하기 전에 스스로 기술개발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얼마나 노력했는지를 되돌아 보는 게 우선이다. 값싼 인건비만 좇는 경영 관행은 노동자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기업과 국민경제 전체에 전혀 득될 게 없다.

재계의 사회적 발언이 잦아졌다. 자신의 이해관계를 적극적으로 옹호하는 것을 탓할 일은 아니다. 그러나 대화 상대를 인정하지 않는 태도를 고집해서는 상생의 노사관계는 요원하다. 경총은 ‘선진 노사관계 정착을 위해 노력한다’는 모토부터 되새겨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