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2.12 20:34 수정 : 2006.02.12 20:34

사설

민주노동당 새 지도부 구성이 마무리됐다. 지난주말 치른 당 대표 결선투표에서 노동운동가 출신의 문성현 경남도당 위원장이 새 대표로 뽑혔다. 이로써 민족 문제를 중시하는 이른바 ‘자주파’가 사무총장과 정책위의장 등 당 3역을 독차지했다. 민주노동당의 향후 노선을 짐작게 하는 대목이다.

이번 당직 선거는 어느 때보다 혼탁한 양상으로 진행됐다. 정책을 둘러싼 건설적 비판과 토론보다는 인신 공격과 비방이 더 기승을 부렸다는 평가가 더 많다. 선거기간 내내 ‘선거 이후가 더 걱정스럽다’는 우려가 끊이지 않았다. ‘부패한 보수정치를 갈아엎고 희망을 주는 진보정치를 펼치겠다’는 정당 치고는 크게 실망스런 모습이다.

이제 분열과 대립을 극복하고 쇄신을 꾀하는 것이 첫째 과제다. ‘역시 진보정당은 다르다’는 걸 유권자들에게 보여줄 책임이 새 지도부에 있다. 대립을 애써 감추면서 봉합을 시도하는 걸로는 안 된다. 진지한 토론과 민주적인 의견 수렴을 거쳐 새로운 정책과 노선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통해서만 상처가 치유될 수 있다.

민주노동당의 노선은 진보정치의 성패가 달린 문제이기도 하다. 자주파가 당권을 장악했다고 민족 문제 일변도로 가선 안 된다. ‘노동자의 정치세력화’ 또한 중요한 목표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이땅의 노동자들, 특히 비정규직들의 권익을 위해 발벗고 나서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진보정치 세력이 정치에 혁신을 가져다주기 바라는 많은 유권자에게 믿음을 줄 개혁적 정책을 제시하는 것도 새 지도부의 과제다.

민주노동당이 오는 5월 말 지방선거를 앞두고 유권자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정당으로 거듭남으로써 정치권 혁신의 계기를 만들어내길 기대한다. 이는 진보정치 세력에 부여된 시대적 과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