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2.21 20:59 수정 : 2006.02.21 20:59

사설

외환은행을 2003년 미국계 사모펀드인 론스타에 넘긴 과정을 둘러싼 논란이 가라앉지 않고 있다. 올 들어 론스타가 이 은행 매각 작업을 본격화하고, 매각 차익이 3조원에 이를 것이란 관측이 나오면서 논란은 증폭되는 모습이다.

사안 자체는 그리 복잡하지 않다. 2003년 말 외환은행의 자기자본 비율을 누가 6%대로 추정해 금융감독 당국이 부실 금융회사로 재단할 근거를 제공했는지와, 이 내용을 담은 ‘팩스 5장’만 보고 정부가 은행법 예외 규정을 적용해 론스타한테 인수 자격을 주게 된 경위를 가리기만 하면 된다. 이강원 전 외환은행장(현 국제투자공사 사장) 역할을 둘러싼 의혹도 이런 의문과 맥이 닿아있다.

논란이 길어지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우리 뜻과 무관하게, 외국인 눈에는 팔아 놓고 차익이 엄청나니 이제 와 꼬투리잡는 걸로 비칠 수 있다. 관련 당사자들의 해명으론 의혹이 풀리지 않고 있는 만큼, 권한 있는 기관이 모든 자료를 제출받아 검증하고 결과를 공개하는 게 논란을 매듭짓는 지름길이다. 설령 국회 정무위의 감사청구가 없었다 해도 감사원 감사는 불가피하다고 본다. 검찰 수사 여부는 그 다음에 판단할 일이다.

놓치지 말아야 할 건 교훈이다. 결국은 우리의 총체적 실력 부족 탓에 엄청난 국부를 넘겨주게 됐다는 걸 뼈저리게 새겨야 한다. 과정을 복기하고 잘못을 찾는 일이 중요한 건, 무엇보다 다시는 이런 값비싼 대가를 치르지 않기 위함이다. 정부 탓만 할 것도 아니다. 론스타는 ‘노다지’로 보고 투자에 나설 때 금융회사를 비롯한 국내 자본은 무엇 했던가. 불확실성이 걷히고 외환은행이 돈을 버니 이제 와서 값을 몇곱절 주고라도 사겠다며 인수전에 뛰어드는 금융계도 반성해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