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6.02.22 20:04
수정 : 2006.02.22 20:04
사설
민주노총이 앞으로 1년을 책임질 새 집행부를 구성했다. 지난해 10월 사퇴한 이수호 집행부의 노선을 이어받는 조준호 전 금속산업연맹 부위원장이 새 위원장에 뽑힘에 따라, 정책에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비정규직 법안의 국회 처리가 걸려 있어 노-사-정 대화가 쉽게 회복되긴 어려워 보인다. 조 위원장도 “투쟁을 중심으로 교섭을 병행”하겠다는 뜻을 분명히했다.
지난 10일 열린 대의원대회는 대의원 자격 논란으로 단 하나의 안건도 처리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그제 대의원대회도 순탄하지 못할 것으로 우려됐으나, 다행히 무난히 진행됐다고 한다. 하지만 선거 직후 많은 대의원들이 자리를 떠, 지난해 사업보고 및 평가, 조직 혁신안, 올해 사업계획 및 예산 승인 등 중요한 안건을 처리하지 못했다. 최고 의결기관인 대의원대회의 이런 모습은 조직의 무책임과 무기력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듯하다.
민주노총이 직면한 어려움은 어느 때보다 크다. 내부 갈등이 극도로 심한데다, 국회의 비정규직 법안 처리 문제, 정부의 ‘노사관계 선진화 방안’ 등 대응할 과제들이 쌓여있다. 지난해 잇따라 터진 비리 사건으로 도덕성도 땅에 떨어져 있다. 새 집행부는 분열된 조직을 추스르는 와중에 중요한 노동 현안에 곧바로 대처해야 할 상황이다.
하지만 아무리 시급한 과제가 눈앞에 있더라도, 기본을 다지고 원칙을 바로세우는 일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어려울수록 기본으로 돌아가야 하는 법이다. 우선 합리적인 소통의 통로를 만들어, 현장 조합원들의 목소리가 제대로 모아질 수 있게 해야 한다. 그래야 조직 혁신을 할 수 있고 ‘투쟁과 교섭’도 힘을 얻는다. 이것이야말로 새 집행부가 가장 먼저 착수해야 할 일이라고 본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