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6.03.06 22:54
수정 : 2006.03.06 22:54
사설
노무현 대통령이 어제 이집트, 나이지리아, 알제리 등 아프리카 세 나라 순방차 출국했다. 이번 순방은 1982년 전두환 대통령의 나이지리아, 가봉, 세네갈, 케냐 순방 이후 거의 반세기 만에 이뤄지는 것이다. 지금까지 한국 외교는 미국, 중국, 일본 등 몇몇 강대국에 편중돼 있었던 게 사실이다. 그러다 보니 세계 10위권의 경제강국으로 성장했음에도 아프리카 등의 빈곤 문제에 무관심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아프리카의 빈곤은 지구촌의 절박한 과제로 등장한 지 오래다. 이번 순방을 계기로 이 문제에 대한 한국의 적극적 참여가 가시화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한국의 공적개발원조(ODA) 규모는 지난해 약 4억달러에 불과하다. 국민 1인당 원조액으로 볼 때 우리와 소득 수준이 비슷한 포르투갈의 10분의 1 정도며, 그것도 95%가 아시아 지역에 치우쳐 있다. 노 대통령은 이번 순방에서 공적개발원조의 확대를 포함해 아프리카 빈곤 문제에 대한 우리 정부의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미국, 중국, 일본 등은 방대한 원조자금을 무기로 전방위적 아프리카 자원외교를 펼치고 있다.
이번 순방국은 아프리카 최대 산유국인 나이지리아를 비롯해 아랍권 지도국인 이집트, 산유국이자 아프리카에서 가장 국토 면적이 넓은 알제리 등 모두 이 지역에서 영향력이 큰 나라다. 이는 노 대통령의 순방 성과에 따라 앞으로 아프리카 외교의 성패가 좌우될 것임을 보여준다. 노 대통령은 이번 순방에서 반기문 외교부 장관의 유엔 사무총장 선출을 위한 지지기반 확대 등과 같은 단기적 목표에 지나치게 집착하지 말고, 한국 외교의 저변확대라는 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