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3.13 20:49 수정 : 2006.03.13 20:49

사설

국내 보건의료 단체들이 다국적 제약회사가 만든 한 값비싼 치료제의 보험약값을 내려달라는 조정 신청을 했다. 의료 소비자 쪽에서 특정 의약품을 문제삼아 보험약값 인하를 요청한 건 처음이라고 한다.

이들이 문제 삼은 건 다국적 제약사가 특허를 낸 신약의 ‘약값 거품’이다. 물론 치료 효과가 뛰어나다면 비싼 값을 치르는 게 당연하다. 그러나 임상효과가 신통찮은데도 일단 ‘혁신적 신약’으로 분류되면 한 알에 수만원을 호가한다.

다국적 제약회사의 시장 점유율은 로열티를 합쳐 국내 시장의 50%에 이르며, 해마다 급성장 추세다. 국민건강보험 재정에서 약값 지출 비중이 선진국의 갑절에 이르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태복 전 복지부 장관이 “다국적 제약사들이 국내에서 연간 1조4천억원가량 폭리를 취한다”고 추정한 게 결코 과장이 아닌 것이다.

정부는 불필요한 의료비용을 줄여 국민건강보험 재정과 국민 부담을 줄이는 게 약값 정책의 핵심이라고 말한다. 올해도 약값 재평가 제도를 통해 1477개 품목을 평균 10.7%(591억원) 인하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인하폭이라는 게 전체 병원외 처방 규모(5~6조원)와 견주면 1% 수준이다. 국외 제약사 품목만 따지면 0.1%에 불과해 ‘언발에 오줌’ 격이다. 더구나 최근 한-미 자유무역협정 협상 과정을 보면 약값 인하 자체가 물건너 갈 것이란 걱정까지 든다.

현재 약값 산정은 원가가 아닌 제약회사의 신고가가 기준이다. 3년이 지나야 가격 변동 요인을 따지기 때문에 적절한 때 조정을 할 수도 없다. 병·의원 등에서 채택료를 받고 처방 의약품으로 취급하는 관행만 부추길 뿐이다. 이런 불합리한 기준과 관행을 놔두고서 약값 인하는 공염불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