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3.31 19:41 수정 : 2006.03.31 19:41

사설

한 해에 전국 농토에 뿌려지는 화학비료와 축산분뇨의 절반 가까운 43만톤이 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다니 놀랍기만 하다. 8톤 트럭 5만3천대 분량의 오염물질이 매년 토양에 축적되거나 하천으로 유출되는 셈이다. 일부는 지하수, 나머지는 개울과 강, 바다를 오염시킨다.

대표적인 피해 사례가 적조현상이다. 팔당호 등 전국 주요 상수원 10곳의 조류주의보 발령일수가 지난해에는 모두 281일로 앞선 해보다 세 배나 늘었다. 국민 건강과 직결되는 수돗물을 생산하는 원료인 상수원에서 나흘 중 사흘은 적조가 발생한 셈이다. 10년 동안 27조원의 세금을 쓴 ‘물관리 종합대책’이 마무리되는 해에 일어났다. 적조는 수돗물에서 복통을 일으키는 독소와 병원성 미생물, 발암물질의 농도를 높이는 원인이 된다. 해마다 적조 피해도 커져 지난해엔 무려 58일 동안이나 남해안 전역에서 발생했고, 양식어류 160만 마리가 폐사했다.

잠복성 위험은 더 크다. 2000년 캐나다에서 수돗물을 마시고 9명이 숨진 사건은 축산폐수에 섞여 들어간 대장균을 제대로 소독하지 않아 일어났다. 바다에 유입된 병원 미생물이 날로 먹는 어패류를 통해 우리에게 돌아올 것을 생각하면 끔찍하다. 해양수산부에서 적조 제어를 위해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지만 육지에서 원인물질이 계속 유입되는 한 세금 낭비일 뿐이다.

환경부는 축산폐수와 화학비료 같은 비점오염원이 수질오염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날로 더 커질 것으로 예측한다. 그러나 대책 가운데 하나인 양분총량제는 시행 여부도 불투명하다. 그렇다면 앞으로 10년 동안 37조원을 쓰겠다는 ‘물환경관리 기본계획’의 결과도 뻔하다. 분뇨강산이 되기 전에 빨리 현실성 있는 대책을 시행해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