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4.20 18:35 수정 : 2006.04.20 18:35

사설

경기 판교새도시 아파트 청약이 열풍처럼 지나갔다. 전용면적 25.7평 이하 9428가구 모집에 46만7천명이 몰렸다. 당첨되면 억대의 차익이 기대되는 청약 잔치였다. 하지만 잔치에 참여조차 하지 못한 이들의 아픔을 돌아보는 이는 별반 없다.

청약 경쟁률은 예상보다 낮았다. 건설교통부나 부동산 전문가들은 수도권 청약예·부금 1순위 가입자 중 절반은 참여할 것으로 봤다. 실제론 5명에 1명꼴이었다. 놓치기 싫은 기회를 많은 사람이 왜 포기했는지 돌아봐야 한다. 10년 전매 제한으로 투기 수요가 준 탓도 있다. 생활 터전과 멀어 청약하지 않은 사람도 있을 게다. 하지만 이는 감안했던 변수다. 예상이 크게 빗나간 데는 다른 이유가 있다고 보는 게 옳다.

원가연동제를 적용했는데도 분양값은 평당 평균 1176만원에 이르렀다. 분양 물량의 대부분을 차지한 32~34평형 분양값은 4억원 안팎이나 됐다. 주택담보 대출 1억5천만원을 받아도 고스란히 2억5천만원은 마련해야 한다. 대출은 20년 분할 상환해도 다달이 115만원을 내야 한다. 이런 셈이 눈물을 머금고 발길을 돌리게 했으리라. 이런 처지의 서민들이 건교부나 전문가들이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많았기 때문에 예상이 빗나갔다는 추론에 주목해야 한다.

자율화 이후 천정부지로 치솟은 분양값이 문제다. 외환위기 이전에 평당 500만원 안팎이던 서울 아파트 쪽은 올해 1분기에 1500만원을 넘어섰다. 어떻게든 값을 낮추지 않으면 서민은 소외된 다수로 남을 수밖에 없다. 주택정책 당국자는 서민이 처한 엄혹한 현실을 판교 분양을 통해 새삼 되새겨야 한다. 분양값은 시장에 맡겨야 한다는 시장주의자들도 서민 가슴에 박힌 못을 한 번 더 돌아봤으면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