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5.01 18:22 수정 : 2006.05.01 18:22

사설

한국토지공사(토공) 산하 국토도시연구원이 2000년 이후에 조성된 전국 17개 택지개발사업지구 택지공급 가격을 공개했다. 건설사들이 그 땅에 지은 아파트 분양값과 견준 결과는 서민들의 가슴을 헤집어 놓는다. 경실련은 건설교통부 표준 건축비조차 너무 부풀려졌다고 하는데, 건설사들은 이보다도 평당 100만~300만원씩 더 폭리를 취했다고 한다. 민간이 개발한 택지에선들 다를 리 없다. 시장경제 체제라지만 이런 폭리를 내버려두는 게 제대로 된 나라인지, 근본적인 물음을 던지게 한다.

이 분석이 토공 처지에서 이뤄졌을 수는 있다. ‘땅장사’를 한다는 눈총을 받아온 토공이, 이 참에 아파트 분양값 급등이 제 탓이 아님을 보여주려는 뜻도 좀 담았을 수는 있다. 그렇다 해도 본질에는 변함이 없다. 경실련도 분양값 거품 문제를 꾸준히 제기한 바 있는데, 이번 택지공급 가격 공개를 통해 분명히 입증된 셈이다. 건설사들이 지난 몇 해 동안 사상 최대 순이익을 거둔 것도 이 덕이다. 내집을 마련하려고 서민들이 애써 모아온 돈을 빨아들인 결과다.

원론적으로는 시장에서 가격이 결정되는 게 옳다. 하지만 우리 아파트 시장은 공급자 위주로 움직여 왔다. 건설사가 분양값을 책정하면 그대로 굳어지는 체제여서, 초과 이윤이 사실상 보장돼 있다. 불완전한 시장에서까지 폭리를 허용해 온 건 정부의 책임 방기다. 건설사 폭리를 뻔히 알면서도 그동안 택지공급 가격을 비밀로 한 토공이나, 이를 방조한 정부는 책임을 통감해야 한다. 진작 분양값 대책을 세웠으면 집값 때문에 국민들이 이토록 고통을 겪지 않았을 게다. 분명한 분양값 안정대책을 지금이라도 세워야 한다. 공공택지에만 적용되는 원가연동제만으로는 부족하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