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록 : 2006.05.05 19:57
수정 : 2006.05.05 19:57
사설
김대중 전 대통령의 6월 방북을 구체적으로 협의하는 남북 실무접촉이 오는 16일부터 금강산에서 열린다. 지난달 21~24일 평양에서 열린 남북 장관급회담에서 합의된 사항으로, 북쪽이 어제 전화통지문을 통해 공식 제의한 데 따른 것이다. 이로써 그동안 초청과 연기 등이 되풀이되며 우여곡절을 겪었던 김 전 대통령의 방북이 가시권 안으로 들어왔다.
북한이 전통문에서 리종혁 조선아시아태평양위원회 부위원장을 실무접촉 대표로 통보한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리 부위원장이 대남문제 분야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감안할 때 이는 북쪽이 김 전 대통령의 방북에 정권 차원에서 큰 의미를 두고 있음을 시사한다.
사실상 준정부적 수준에서 진행되는 김 전 대통령의 방북을 통해 교착상태에 빠져 있는 북한 핵 문제의 돌파구가 마련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번 실무접촉에서 남북은 김 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다시 만나 실질적인 논의를 할 수 있도록 각종 실무현안을 잘 조율해야 할 것이다. 두 지도자가 한반도의 항구적인 평화와 동북아 안정을 위한 방안들을 허심탄회하게 논의할 수 있어야 여러 난제들도 해결 실마리를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실무접촉에서는 김 전 대통령의 열차를 이용한 방북과 경의선의 완전한 개통 문제도 매듭지을 필요가 있다. 경의선 개통은 남북 화해의 상징이면서 남북 경협의 중요한 촉매제로, 더 미뤄져서는 곤란하다. 납북자 및 국군포로 문제도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이번 방북을 계기로 구체적인 해결 방안이 마련되기를 바란다. 이와 함께 김 전 대통령의 방북이 마치 북쪽의 적화통일 계획의 일부라도 되는 것처럼 음해하는 일부 극우 세력의 시대착오적이고 비이성적인 언행도 자제돼야 한다.
광고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