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2.21 15:57 수정 : 2005.02.21 15:57

(왼쪽부터) 황용식 주 타이베이 한국대표부 대표, 이영준 주 말레이시아 대사, 문하영 주 우즈베키스탄 대사.



황용식 “당장 수익 없어도 다방면 지원을”
이영준 “남아시아 깔보는 풍조 사라져야”
문하영 “드라마 요소마다 코리아 홍보 필요”

한류 열풍 진짜일까? 최근 일본에서 보아의 <베스트 오브 소울> 음반 선주문량 80만장이 매진됐다. 또 ‘욘사마’는 일본뿐만 아니라 남아시아에서도 국빈대접을 받고 있다고 한다. 하지만 홍보전략 부재와 한탕주의로 금새 시들해질 거라는 전망도 있다. 중앙아시아까지 뻗어간다는 한류, 외국 문화를 받아들이기에 급급했던 한국인들의 보상심리가 덧입혀져 과장된 건 아닐까? 과연 지속될 수는 있을까? 공관장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국내에 들어온 황용식 주타이베이 한국대표부 대표, 이영준 말레이시아 대사, 문하영 우즈베키스탄 대사가 지난 15일 외교부에서 만나 현지에서 보고 들은 한류를 바탕으로 이런 질문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구본우 외교통상부 문화외교국장이 사회를 맡아줬다.

나이 차별이라고 비난받을지 모르지만 솔직히 비, 보아, <을울연가>에 공감하는 지긋한 외교관들을 상상하기 어려웠다. 그래서 겉도는 딱딱한 이야기들만 나오면 어쩌나 걱정했는데 대사들은 의외로 구체적인 경험을 들려주며 이야기의 재미를 더해주었다.

▲ 사회:구본우 외교통상부 문화외교국장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