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패밀리사이트

  • 한겨레21
  • 씨네21
  • 이코노미인사이트
회원가입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5.25 18:22 수정 : 2006.05.25 23:00

사설

통계청이 어제 발표한 2005년 인구주택 총조사 결과는 ‘늙어가는 한국’의 모습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나이별 인구분포를 보면, 30~40대가 가장 많고 30대 미만과 50대 이상은 적은 ‘항아리형’이다. 이는 전형적인 인구감소 구조다. 현재 수준의 인구를 유지할 수 있는 한계를 넘어, 이미 절대인구 감소를 눈앞에 둔 단계에 들어선 것이다.

문제는 이런 저출산·고령화 추세가 너무 빠르고 가파르다는 점이다. 우리처럼 불과 한 세대 만에 인구구조가 급격히 변한 건 세계적으로 유례를 찾기 어렵다. 유소년 인구(0~14살) 비율은 5년새 10%포인트나 급감한 반면, 노인 인구(65살 이상)는 전체 인구의 10% 수준까지 늘었다. 그 결과 노령화지수(유소년 대비 노인인구 비율)는 1985년 14%에서 95년에는 25.8%, 지난해에는 48.6%로 10년마다 거의 갑절씩 높아졌다. 10여년 뒤면 생산가능 인구의 주력인 30~40대 아기붐 세대가 본격적으로 노령층에 편입된다. 생산 인구 유입은 더 줄어들고 퇴출 인구는 더 늘어나는 상황을 피할 수 없는 것이다.

인구의 지역별 쏠림 현상도 개선될 낌새가 없다.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인구 비율은 95년 45.3%에서 2000년 46.3%, 지난해에는 48.2%로 증가세가 오히려 더 가팔라졌다. 서울 인구는 조금씩 줄었지만 다른 지역에서 경기지역으로 유입되는 인구가 크게 늘어나 수도권 광역화가 심화된 탓이다. 전북·전남·경북 등은 절대 인구가 4~8%포인트씩 크게 줄었고, 대구·부산 같은 지방 대도시도 감소했다. 지방 분권화, 혁신도시·행정도시 건설 추진 등 균형발전 정책에도 불구하고 탈농촌-도시화, 수도권 집중 등 불균형 발전이 여전하다는 얘기다.

인구 분포와 규모는 나라살림의 기본이자 경제·복지·교육 등 미래 국가전략의 출발점이다. 핵가족화, 주택문제, 농촌·도시문제 등 많은 사회경제적 문제의 해결점을 찾는 단초이기도 하다. 인구 변화가 지금처럼 전반적인 경제사회 구조와 조응하지 못하고 급격히 진행된다면 지속 가능한 사회발전을 기대할 수 없음은 자명하다. 사회적 부양 능력을 위축시켜 안정적인 성장과 사회복지 체계를 위협하는 것은 물론, 이해집단, 세대 사이 갈등 또한 높아질 것이다. 장기적 안목만큼이나 구체적인 대책이 절실한 이유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많이 본 기사

전체

정치

사회

경제

지난주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