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6.06.08 21:00 수정 : 2006.06.08 21:00

사설

5·31 지방선거 참패의 충격 속에 방황하던 열린우리당이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당 지도부를 꾸리기로 했다. 상임위원 7명 등 모두 15명의 비대위원이 오늘 중으로 확정되며, 그 권한은 막강할 것이라고 한다. 비대위원장에는 김근태 의원이 사실상 정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여당으로서는 비상한 시점에 비상한 각오로 비대위를 출범시키는 것이겠지만, 미안하지만 이를 바라보는 국민의 처지에서는 그다지 비상스럽게 느껴지지 않는다. 오히려 후진적이고 뿌리가 너무도 얕은 우리 정당정치의 현실을 보는 것 같아 씁쓸하다.

열린우리당의 경우 2003년 11월 창당한 이래 비상대책위 체제만 해도 벌써 네 번째며, 당의 얼굴인 의장은 아홉 번째다. 평균 넉 달에 한 번꼴로 당 지도부가 바뀌었다. 그렇게 해서 지지율이 올라가는 등 좋은 결과가 나타나지도 않았다. 결국 여당 지도부는 언제 떨어질지 모르는 나무에 불안하게 매달려 있는 취약한 신세였던 셈이다.

이래서는 정당정치가 뿌리내릴 수 없다. 새로 출범하는 한시적인 지도부가 첫번째로 염두에 둬야 할 사안이다. 선거 패배 등 무슨 일이 있을 때마다 지도부가 바뀌어서는 누군들 제대로 지도력을 발휘할 수 있겠으며, 유권자들이 그런 당에 신뢰를 보낼 수 있겠는가. 전당대회에서 권한을 위임받은 지도부가 지도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어야 정치 발전이 가능하다. 바람에 이리저리 휩쓸리는 정당이 아니라 원칙을 지키는 정당으로 거듭나길 바란다.

이번 선거에서 드러났듯이 유권자들의 판단은 냉정하다. 정당의 얼굴이 누구냐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그 정당이 어떤 국민을 대변하고 어떤 정책을 일관되게 펴느냐를 먼저 따진다. 주요 정책에서 오락가락해서는 설 자리가 없다. 따라서 새 지도부가 바로 세워야 할 것은 정책 노선이다. ‘좌파 신자유주의’라는 실체없는 혼합 정책은 정치만 탁하게 할 뿐이다.

자기 정체성을 확립하는 과정에서는 민주적인 내부 토론을 충분하게 해야 한다. 소수 의견이라고 해서 말길을 막거나 억눌러서는 안 된다. 다양한 의견이 나오는 것은 민주정당에서 당연하다. 또 인위적인 정계개편이나 대선주자 영입 등을 추진해서는 안 된다. 그런 꾐수가 먹혀드는 시대는 지났다. 진지하게 자신의 정체성을 찾아 한국 정당정치 발전에 기여하길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